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7969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o Fertility Intention and Childbirth of Married Women

  • 저자[authors] 조아라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77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익중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8.2

  • DDC[DDC] 3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7766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과 관련한 연구 및 향후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출산은 출산계획 또는 의도가 있고 난 후 일어나므로 기존 연구에서는 출산의도를 출산대신 종속변수로 사용해왔으나, 출산의도가 실제 출산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힌 주요변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가족적 요인,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계획이나 생각을 뜻하는 출산의도와 실제 출산행위를 뜻하는 출산을 동시에 탐색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무자녀에서 첫째자녀, 첫째자녀에서 둘째자녀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각각 살펴보았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가족패널(KLoWF)의 1차에서 5차연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력을 파악할 수 있는 종단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만 45세 미만이면서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으로 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출산의도와 출산을 기준으로 하여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1), 첫째자녀 출산(모형2),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모형3), 둘째자녀 출산(모형4)으로 나누어 총 4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형1(첫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132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첫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첫째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2(첫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22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반수가 첫째자녀를 출산하였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남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첫째자녀를 출산하였다. 모형3(둘째 출산의도)은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5차 조사에 참여할 때마다 일관되게 출산의도가 있다 혹은 없다고 응답한 336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혼여성의 대부분이 둘째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없었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아내의 일자리가 없을수록, 본인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남편 가사분담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둘째 자녀에 대한 출산의도가 있었다. 모형4(둘째 출산)는 1차 조사에서 출산경험이 있으며, 출산 자녀수가 1명인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5차에 출산경험이 없다 혹은 있다고 응답한 674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이 둘째자녀를 출산하지 않았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부성휴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제 둘째자녀를 출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또는 둘째자녀를 계획하게 되는 요인과 실제 출산을 결정하게 되는 요인을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저출산 현상의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05
3428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10
342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8
34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302
342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와 중증치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 / 김지혜 2018  137
3424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64
3423 9 보건의료 고령화 시대에 따른 보건의료 서비스 산업 현황 및 분석 / 김진광 2018  321
342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2017  67
3421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713
»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43
3419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2018  260
341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상실에 관한 질적 연구 / 전순초 외 2018  162
3417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37
3416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90
3415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7
3414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100
3413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3
3412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8
3411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17
3410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61
3409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