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장신논단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68689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A Public Theological Approach to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 저자[authors] 문시영(MOON Si-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장신논단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0No.1[2018]

  • 발행처[publisher]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7-26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 비범죄화 논란,생명,시점의 문제,해법의 모색,공공신학,Decriminalization of Abortion,Life,Public Theology,Questions about Time,Questions about Solution


초록[abstracts] 
[이 글은 낙태의 비범죄화를 위한 국민청원으로 촉발된 낙태문제의 사회적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성찰과 제언에 목적이 있다. 낙태 비범죄화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낙태죄가 과잉도덕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사문화되었다는 인식을 근거로, 낙태를 비범죄화 함으로써 사회적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고 말한다. 낙태 비범죄화론과 관련하여, 수태되는 순간부터 생명이라는 기독교의 생명주권 원칙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정황에서, 기독교는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이 주는 통찰에 주목하면서 공론화에 대비해야 한다. 기독교의 입장과 다르다는 이유로 사회적 공론화 자체를 반대할 것이 아니라 기독교의 내부 토론을 거쳐 공론화에 대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이다.    공적 소통을 위한 내적 토론에서 두 가지에 주목해야 한다. (1)합리적 접근: 하나님의 생명주권에 대한 신앙고백을 바탕으로, 공론화 과정에 제시할 기독교의 입장을 합리적인 형태로 마련해야 한다. 반론가능성과 균형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태아의 생명(life)에 대한 강조와 여성의 삶(life)에 대한 관심을 아우르는 합리적 전략이 필요하다. (2)해법의 모색: ‘시점의 문제’(when question)에 집착하기보다 ‘해법의 모색’(how question)에 주목해야 한다. 생명의 시점에 대한 논의를 회피하려는 것이 아니라, 해법 지향적 접근에 주목하자는 뜻이다. 낙태 비범죄화론 역시 시점의 문제에 관심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비범죄화를 위한 면책 시점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으나, 기독교는 사회적 공론화의 방향을 해법 지향적 논의로 이끌어 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낙태 비범죄화 논란 속에서 전략의 마련과 함께 하우어워스가 말한 ‘생명을 환영하는 교회됨’을 위한 관심을 놓쳐서는 안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necessity and strategy of a public theological response to an exit strategy of the abortion issue suggested by the national petition for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Christianity argues that human life begins at the moment of conception. But in the context of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the Christian view on abortion is often subject to criticism in Korean society. Christianity should not be opposed to holding a public discussion but actively communicate and persuade in regards to this matte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ublic communication strategy based on public theology before participating in public discussion. In this sense, the public theology of Max L. Stackhouse provides important insights as follows: (1) pursuit of rational communication and (2) seeking for policy supplement.    On this basis, this paper analyzes the core of the controversy on abortion as the questions about time. There is also a concern on the time of criminal immunity in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Under the condition of the questions about time, the controversy will fail to reach an agreement. Rather, this paper suggests changing the way of approach and finding solutions. And Christianity should suggest a public discussion for a group of experts to resolve the conflicts of abortion-related rights. In addition to public theological interest in abortion as a public polic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insights for ecclesial ethics given by Stanley Hauerwas. It means that Christianity should not overlook a deep concern in being a church that welcomes life in the gospel.]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성찰과 제언  Ⅲ.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24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에서의 헌법이론 -헌법질서의 확립과 가이드라인 시대의 서언 / 손형섭 2013  68
4247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4246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폰 환경에서 공인인증서 사용 시 소유 및 생체인증 연동 방법 / 김선종 2015  68
424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융합맵 생성 및 국가 프로파일 분석/김현우 외 2017  68
4244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8
424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4242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2013  68
4241 9 보건의료 한국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웹 기반 OLAP 서버 구현 / 김진혁 외 2017  68
4240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2017  68
4239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활용과 형사책임 / 황만성 2007  68
423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8
4237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2012  68
»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8
4235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에 관한 문헌 연구: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 황지영 외 2018  68
4234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2018  68
423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423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4231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423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2018  68
422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감성지능, 소진탄력성 및 생의 의미 간의 관계 / 김경옥 외 2018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