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서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355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인성 - 상상력과 공감에 기반 한 감수성 - 

= Character-trait require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Sentiment based on imagination and sympathy -

  • 저자[authors] 양선이 ( Yang Sunny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동서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6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동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5-5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로봇), 공감, 상상력, 감수성, 흄, Artificial Intelligence, Sympathy, Imagination, Sentiment, Hume

초록[abstracts] 
[21세기의 신기술들은 인간에게서 권한을 박탈하고 비인간 알고리즘의 권한을 강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나는 이러한 현실에서 가장 희소성을 갖는 것은 타인과 공감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인간이라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나는 18세기에 이러한 점을 강조한 데이비드 흄의 사상을 살펴볼 것이다. 흄은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고 세계와 교섭하는 가장 근본적 능력을 공감력이라 보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공감을 위해서는 상상력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상상에 기반을 둔 공감 능력 때문에 도덕이 작동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 나는 이와 같은 흄의 사상이 오늘날 인성교육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짚어보기로 하겠다.  둘째,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감정부여 문제와 맞물려 있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미래사회는 상상력이 중요시되지만 상상을 통한 공감이 잘못 작동함으로써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의인화와 함께 현실도피와 중독의 문제를 우리는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감정을 해독하고 적절한 반응을 하는 로봇의 개발 가능성만으로 로봇이 인간의 서사구조의 정상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을 보이겠다. 나는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의인화가 잘못된 이유는 인공지능과 우리와 서사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New technologies of the 21st century can deprive human beings of authority and strengthen the powers of inhuman algorithms. In this paper, I show that the most valued thing in this century is a human being with the power to sympathize with others.  I look at the ideas of David Hume, who emphasized this point in the 18th century. Hume thinks of sympathy as the most fundamental ability of humans to understand others and to commune with the world. Furthermore, he claims that imagination is essential for such sympathy, and that morality works because of the sympathetic power.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Hume's idea sheds light on today’s humanity education.  Second, I look at the eth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issue of attributing emotions to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n the future society, imagination is important, but we cannot help but worry about the problem of addiction as well as the personific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due to the misapplication of sympathy through fictional imagination. I criticize the idea that robots can be a normal partner of human narrative structure only by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robot that decodes emotions and respond appropriately. I argue that the reason why the anthropomorphism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is wrong is that we have different narrative structures from th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4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70
2847 15 유전학 나고야 의정서의 국제통상법적 접근 : WTO협정의 비차별주의를 중심으로/박경진 2015  270
2846 16 환경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김대군 2015  270
2845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70
2844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9
2843 23 연구윤리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문성원 2019  269
2842 12 낙태 낙태(落胎)(죄(罪))와 불교(佛敎)의 생명관(生命觀)/이규호 2018  269
2841 2 생명윤리 인간의 존엄과 생명가치에 대한 법적 판단의 문제 / 이재명 2017  269
284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에 발생한 Candida glabrata 감염으로 인한 패혈 유산 1예 / 이서현 2013  269
2839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2015  269
283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2010  269
283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9
2836 2 생명윤리 HEAVEN 프로젝트의 윤리적 문제 / 전방욱 2019  268
283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2018  268
2834 9 보건의료 국내 질병 관리 및 건강불평등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8  268
2833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2018  268
2832 9 보건의료 의약품 자료 보호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박현정 2017  268
2831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선교신학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 옥필훈 2016  268
2830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표시 및 관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선정 2019  267
2829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