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선교와 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63842 
저출산 극복을 위한 선교적 과제 : 출산과 재출산을 위한 살림의 신학

  • 저자[authors] 박은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선교와 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2017]

  • 발행처[publisher]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9-36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저출산, 재출산, 결혼과 출산의 신학, 선교적 교회, 살림의 신학, low birth rate, regeneration, Theology of marriage and birth, Missional church, Life-living (Salim) Theology


초록[abstracts] 
[한국은 압축 경제 성장을 일궈냈지만 동시에 가장 짧은 기간에 고령 화·저출산 사회로 전환되었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출산율의 감소, 노년 인구의 증가, 그리고 가족 형태의 다양화이다. 저출산의 위험을 인식한 유 럽국가들 중 몇몇은 막대한 재정투자와 가족정책 지원, 그리고 직장과 가 정을 병행할 수 있는 출산 또는 육아 휴직 등의 보장, 이민 확대 등을 통 하여 저출산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1차(2006- 2010), 2차(2011-2015)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 계획을 세우고 150조 이상을 투자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다. 현재 제3차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 계획을 추진 중이지만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저출산이 국가적 재앙으로 다가오듯이, 교회도 이러한 위기로부터 자 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교회의 위기에는 다양한 분석이 있지만 그 끝에는 출산의 위기가 있다. 왜냐하면 교회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기 때 문이다. 저출산 극복은 출산의 장려와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재출산과 연계 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교회는 다시 언약으로서의 결혼과 가족을 교육하 고, 생명을 잉태하는 “생육하고 번성하는” 출산의 신학과 낙태와 생명 유 기와 해외입양과 자살을 방조하는 세상 문화에서 생명을 귀히 여기고 다시 살리는 재출산, 살림의 신학으로 무장하여야 한다. 교회와 목회현장이 변해감에 따라 목회자의 개혁과 각성이 요구되고, 변화해가는 결혼과 가족 문화와 가치에 대한 언약으로서의 결혼과 생육하 고 번성하는 가족 만들기의 목회와 선교적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선교 적 교회가 강조되는 이 시점에서 살림의 신학에 근거한 출산과 재출산의 사역은 변화(전환)의 출발점이다

While South Korea has successfully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it has also transformed, within a very short period, into a society with an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rates. The most crucial changes are low fertility rates, an increase in geriatric popul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family unit. Some European nations acknowledging the problem of low birthrates have provided significant amounts of funding and support for family policies and expended immigration. By allowing flexibility between the workplace and the home during pregnancies, these nations have begun to counteract the cycle of population decline. However, whi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vested more than 150 trillion won (nearly 125 billion dollars) to enact large-scale social programs (a first phase between 2006-2010, and a second between 2011-2015) aiming to similarly counteract its low birthrates, these efforts have not brought notable improvements in the population trend. Currently, a third phase (2016-2020) is being planned by officials, but exceptional measures have become necessary. Not only is the nation-state threatened by low birthrates, but the church also faces this reality as well. While there are various analyses on the crisis of the church, low birthrates remain a fundamental problem, as the basic ecology of the church is being destroyed. The promotion of marriage is necessary to overcome population decline. However, even if the current generation of youth hopes to marry, they face difficult obstacles. As marriage is delayed, perpetual singlehood and deferred marriages increase, which then furthers the decline in national birthrates and increases the phenomenon of aging population in a vicious cycle. Thus, the missional church must emphasis the theology of marriage and birth through the biblical command to “be fruitful and multiply.” It must equip itself with Life-living (Salim’s) Theology to breathe life into a worldly society accepting of abortion, child abandonment, international adoptions, and suicide.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church and field ministry, those of the ministry must prepare for reform and awakening. They face a need to plan and develop missional strategies that emphasize the theology of marriage and birth and establish ministries for the growth of thriving families, especially as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the values of family continue to change. Today, the missional church has become a requisite, and Salim’s theology of birth and regeneration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its ministry.]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저출산 현황과 재출산   III. 재출산을 위한 선교적 교회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08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6
1407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6
1406 9 보건의료 1969년 스웨덴 헌법 개정이후 의료체계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 김철주 2016  126
1405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1404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6
1403 9 보건의료 임상시험 결과의(Clinical Trials Outcome)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강화전략(Enrichment Strategy) 탐색 : 일개 병원 EMR 자료를 이용하여 / 이지선 2018  126
1402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1401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1400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2007  126
1399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1398 9 보건의료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 이용표 2017  126
139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1396 9 보건의료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 - 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윤혜선 2018  125
1395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개요와 쟁점 / 김수경 2018  125
1394 9 보건의료 노인의 건강과 돌봄 / 이윤경 2018  125
1393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5
1392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본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교육/ 임상수 2017  125
1391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5
139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1389 12 낙태 여성의 임신종결권리의 필요성과 그 함의 / 양현아 2006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