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상담코칭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28303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In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Medical-Counseling model on Abortion

  • 저자[authors] 이원경(Lee Won Kyung),이경선(Lee Kyung S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연세상담코칭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2017]

  • 발행처[publisher]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3-1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낙태,학제성,의학,신학,상담모델,abortion,interdisciplinarity,medicine,theology,counseling model


초록[abstracts] 
[지금까지 낙태문제가 안고 있는 다양한 학제간 논의는 크게 규준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입장(철학, 법학, 의학)과 규준적용의 대상인 생명을 이해하고 돕는 입장(신학, 여성학)의 두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에 있어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은 상호주관성의 관점으로 두 측면이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융합적 해석의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낙태문제의 핵심적 딜레마를 의학과 신학의 대화 필요성으로 해석하며 첨예한 갈등의 상황에서 당사자가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낙태의료상담(Medical-Counseling on Abortion: MCA) 절차를 제안한다. MCA는 상호주관적인 분석적 장(encounter field)의 토대 위에서 낙태문제를 재구조화하고, 현재 문제를 상담적으로 개념화하여 대상자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대상자가 낙태문제를 스스로 결정짓고 책임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MCA 절차를 적용한 낙태상담은 낙태 전 상담과정을 통해 낙태숙려기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궁극적으로 대상자가 상담 이후에도 생명의 문제를 책임감 있게 다룰 수 있도록 함의점을 제시한다.

The various interdisciplinary debates on abortion problems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side (philosophy, jurisprudence, medicine) to present norms, the other to understand and care the life (theology, women’s studies) which is the object of the norm application. In this approach, the interdisciplinarity provides a framework of fusion interpretation so that both aspects of interaction can be correlated with the perspective of mutual subjectivity. This study interprets the core dilemma of abortion as a necessity of dialogue between medicine and theology, and proposes a Medical-Counseling on Abortion (MCA) procedure that can facilitate the best decision process among the acute conflicts. The MCA is a process that helps prepare for restructuring the abortion issue on the basis of the mutually subjective encounter field,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the subject by conceptualizing how to counsel the current problem, making the decision of the abortion problem. Therefore, the MCA model facilitates to utilize the cooling-off period of abortion through the pre-abortion counseling process, and ultimately helps people cope with the life-threatening crisis in a responsible way, and provides the implications.]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 우리 가까이에 있는 낙태의 모습  Ⅱ. 낙태개념과 낙태담론  Ⅲ. 낙태문제의 학제 간 만남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48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1047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045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6
1044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1043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6
1042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6
1041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6
104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103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1038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1037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1036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103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1034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1033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103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031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103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1029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