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47872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Kidney Transplantation from Expanded Criteria Donor in Korea: It`s Time to Have Our Own Criteria Based on Our Experiences

  • 저자[authors] 양신석 ( Shin-seok Yang ), 박재범 ( Jae Berm Par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移植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1[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이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Kidney transplantation, Brain death, Donor, Standards, Allografts, 신장이식, 뇌사, 기증자, 범주, 동종이식편

초록[abstracts] 
[The disparity between the number of patients awaiting kidney transplantation (KT) on the list and the number of actual number of KT from deceased organ donation has become wider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onations. Moreover, the proportion of donors aged 60 or more has rapidly increased. KT from expanded criteria donor (ECD) has been not only been necessary, but also inevitable with respect to maximizing the use of this scarce organ resource. However, we still use the “marginal donor criteria” implemented in 2000 when 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was established. In the Korean transplantation environment, this “marginal donor criteria” does not have the power to predict graft outcome, and fails to discern grafts with inferior transplant outcomes from successful transplants. As a result, it does not meet the role of the criteria in Korea. Therefore, we should develop our own criteria based on our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experience. Here,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CD KT in Korea in context with the progression of the ECD criteria system in UNOS (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and present some considerations for the Korean donor criteria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2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최동원 외 2017  160
2827 9 보건의료 정부와 병원의 위기커뮤니케이션에 따른 언론 및 공중의 반응분석: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노유진 2018  160
2826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분야 정보보호 및 정보화촉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은자 2010  161
2825 14 재생산 기술 난자매매에 대한 형사제재의 정당성과 한계/황만성 2007  161
2824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28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논난과 법적 문제점 / 이창상 2005  161
2822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1
2821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2820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
2819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1
2818 9 보건의료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박광호 2014  161
2817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1
2816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환자의 연명의료결정 시 자기결정권 존중과 의사결정 조력 / 유수정,박소연 2017  161
2815 1 윤리학 동물실험의 재현성과 윤리성 확보를 위한 연구논문 점검 / 천명선 외 2017  161
2814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
281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과 자연교배 마우스의 행동학적 비교 연구 / 장윤철 2016  161
2812 20 죽음과 죽어감 치매 노인 사망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은옥 2016  161
2811 18 인체실험 [자료] 일본임상연구법(2017년 법률 제16호) 2018  161
28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2809 1 윤리학 행복한 삶과 인성교육 -절대무(絶對無)와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 황종환 2019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