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다문화사회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814271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Legislators’ Bills on Multicultural Policy in the National Assembly

  • 저자[authors] 민태은(Min, Tae Eun),오혜진(Oh, Hye 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다문화사회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0No.1[2017]
  • 발행처[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7-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다문화 정책,의원 발의안,결혼이주여성,외국인근로자,입법현황,Multicultural Policy,Legislator’s Bill,Marriage Migrant Women,Foreign Labor,Immigra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제17대부터 19대 국회까지 다문화가족지원 및 외국인근로자고용에 관한 의원 발의법안의 특성과 입법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의원들의 향후 다문화정책 입법행태를 전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 정책 관련 법안발의는 주로 여당의원, 보수정당의원, 초선의원, 비례대표의원, 여성의원, 또는 50대 의원들이 적극적이었다. 특히,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경우 여당, 여성비례대표, 결혼이주여성이 많은 지역구 출신, 보수당 내의 연령이 낮은 의원들에 의한 발의가 활발하다. 발의 의원의 특성에서 정당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은 보수정당 의원과 더불어 다문화가정의 비율이 높은 지역구 의원의 발의가 많았다. 특히 지역구 의원 다문화 가족 지원과 관련한 높은 발의는 결혼이주여성은 영주자로서 거주지역의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이민자의 수가 증가될수록 이들을 대변할 법안 발의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지역 내 다양한 사회집단의 이익이 상충할 때, 다문화 정책과 관련하여 의원 및 정당 간 갈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gislators who proposed bills on multicultural policies–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abor policies- from the 17th to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rough this, we aim to discuss legislators’ future behavior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abor bills. political parties have not taken divergent posit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However, we find that conservative party members, newly-elected legislators, proportional representative members, female members, and members over 50 are more likely to propose bills on multicultural policies. Particularly, district representatives elected from districts with high share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more likely to propose bills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migrant women. This result indicates that multicultural polici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legislative agendas as the number and types of immigrants will have been increasing.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mmigrants, diverse stakeholders would emerge. As a result, with multicultural polices, conflicts among legislators an political parties will get more complex and noticeabl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Ⅲ. 자료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9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9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발행년 2006 

  • 조회 수 129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9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9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9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발행년 2017 

  • 조회 수 129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129

9 보건의료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 - 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윤혜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9 보건의료 미국의 사과법 및 디스클로져법의 의의와 그 시사점 / 이원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9 보건의료 노인의 건강과 돌봄 / 이윤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9 보건의료 1969년 스웨덴 헌법 개정이후 의료체계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 김철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8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9 보건의료 임상시험 결과의(Clinical Trials Outcome)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강화전략(Enrichment Strategy) 탐색 : 일개 병원 EMR 자료를 이용하여 / 이지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8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발행년 1985 

  • 조회 수 12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역할 / 정지훈

발행년 2016 

  • 조회 수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