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시아여성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6905 
젠더와 국제이주 

= Gender and International Migration :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Australia

  • 저자[authors] 문경희(Moon, Kyoung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아시아여성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7No.1[2018]
  • 발행처[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10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젠더,국제이주,호주 한인,재이민,여성이민자,Gender,International Migration,Korean immigrants in Australia,Re-migration,Female migrant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호주의 한인 ‘1세대’ 여성의 이주과정과 삶의 경험을 젠더관점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첫째, ‘1세대’ 여성의 호주이민을 유발한 동인과 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1세대’ 여성들은 누구이며, 이주 전 과정에서 그들은 어떤 젠더화된 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젠더정체성이 그들의 이민 과정을 어떻게 구조화했는가? 시기적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호주로 이주한 한인 ‘1세대’는 주로 베트남, 독일, 남미, 중동 등에서 해외이주노동을 한 경험을 토대로 호주로 ‘재이민’한 사람들이다. 주로 남성기술자와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입국을 허용했던 호주정부의 이민정책으로 인해 여성들은 남편 또는 아버지의 초청에 의해 입국이 허용된 수동적인 이민주체로 각인되었다. 한편, 구술면담에 따르면, ‘1세대’ 여성들이 남성에게 의존적인 수동적인 이민자로서의 삶을 산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그들이 엄마이자 아내, 며느리, 노동자라는 다양한 정체성에 따라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지속적인 수행과 탈피를 요구받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남녀 간의 젠더권력 구조를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호주 한인 ‘1세대’ 여성의 이민 경험이 거시 구조적 요인에 따라 집합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가족 구성이나 직업 등 개인적인 차이로 인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Based upon the literature on gender analysis of migration, this study examines 1) macro-structural determinants of ‘first-generation’ Korean female migration to Australia, 2) who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were and what gender-specific experiences of migration they had from the pre-departure to post-arrival periods, and 3) how gender as a social system contextualized their migration processes. Th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are the first Koreans who moved to Australia in order to live and work there, mainly from the 1970s to the early 1980s. Many of them immigrated to Australia via Vietnam, Germany,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In most of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s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women are either overlooked or mentioned briefly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women entered Australia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mainly because of male-biased immigration visa polices. Moreover,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 women, their life experiences differ depending on their family background, job qualifications, marital status, etc. However, this study shows their pre-migration as well as post-migration identities were constructed and renegotiated in the tension between discontinuities and continuities, disempowerment and empowerment. This implies that they were not passive subjects onto whom power relations and identities were written.]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요약  I. 들어가며  II. 연구 대상자 소개 및 방법론  III. 젠더와 국제이주  IV. 1970년대 호주의 이민정책과 신규 여성이민자의 유급노동 참여  V. 호주 이민 전의 삶의 경험과 젠더정체성  VI. 이민 후의 정착과 가족, 일, 젠더관계  VII.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발행년 2004 

  • 조회 수 83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7 의료사회학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 지표 개발 연구 / 이영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 윤리학 미국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2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8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발행년 2016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발행년 2015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