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교육문화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400335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 저자[authors] 이정금(Lee, Jung-keu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교육문화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1[2018]

  • 발행처[publisher]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49-56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다문화,다문화교육,다문화교육정책,다문화정책,미래사회,Multi-cultural,Multi-cultural education,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Policy of multi-cultural,future society


초록[abstracts]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미래 한국사회에서 다문화학생은 우리사회의 소중한 자원이며 중요한 사회구성원이다. 그러나 다양한 배경을 가진 다문화 학생들이 우리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 교육소외로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문화가정의 실태, 다문화 가정 자녀 및 학생현황을 파악하여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교육부와 ・여성가족부, 그리고・법무부에서 실시하는 다문화교육 정책 추이를 살펴보고, 관련 자료를 근거로 현행 한국 다문화 교육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행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일관성 없는 다문화교육정책과 부처 간 소통 부재, 일방적인 한국문화 주입과 강요 그리고 관련 기관 협력부재와 사회관계망 부족을 들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미래사회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Korean society has rapidly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trend.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students are important resources of our society and important members of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face many difficulties with stereotypes, prejudices, and educational alienation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society by deriving the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atus of children and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dentify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tren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e analyzed the problems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onsisten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unilateral Korean culture injection, absence of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shortage of social networks.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as suggest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한국의 다문화 교육의 현황  Ⅲ. 현행 다문화교육 정책의 문제점  Ⅳ. 미래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68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1467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3
1466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1465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강보람 2016  133
1464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3
1463 9 보건의료 프랑스법상 의사책임분야(醫事責任分野)에서의 인과관계와 소멸시효론에 관한 소고/박수곤 2014  133
146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2014  132
1461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2017  132
1460 8 환자 의사 관계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 봉영준 2017  132
1459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2
1458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에 대한 법적 고찰 / 한명수 2016  132
1457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 서이종 2016  132
1456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2
145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2
1454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1453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1452 9 보건의료 지하철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개정의 규제효과 분석 / 이민욱 2014  132
145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법적 문제 : 사자장기증을 중심으로 / 정규원 2003  132
1450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상 인공지능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도훈 2016  132
1449 5 과학 기술 사회 현장을 외면해버린 짝퉁 과학기술 정책/이덕환 2016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