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400600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Unconstitutionality of Punishing Sex Workers In View of Transition from Moralism to Consequentialism


  • 저자[authors] 박경신(Kyung Sin Par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논총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1[2018]
  • 발행처[publisher]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1-1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도덕주의,성매매,성노동,스웨덴식 모델,비형사화,moralism,prostitution,sex work,Swedish model,decrminalization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400600


초록[abstracts] 

[2016년 헌법재판소는 성매매의 성제공자 처벌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은 주로“성의 상품화”금지를 통한 “건전한 성풍속”보호라는 입법목적을 위해 성매매특별법이 필요하다는 취지였다.    성은 특별하다. 성은 우리 인류를 유지해주는 사랑, 결혼, 출산과 특별한 관계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랑, 결혼, 출산의 맥락을 동반하지 않은 성을 범죄시해서는 안된다는 것은 우리 헌법재판소가 2014년 간통죄 위헌결정에서 밝힌 바 있다.    대가와 결부되어 있다고 해서 성행위가 불법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결혼, 돌봄노동 등 경제적 행위와 결부된 다른 여러 가지 활동과 비교해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도리어 대가를 통헤 성을 제공하는 여성은 많은 상대를 대상으로 성행위를 할 것이라는 추정과 이와 같은 여성에 대한 편견이 도덕주의적 성매매금지론의 기저에 있지 않은지 살펴볼 일이다. 이와 같은 분석은 위헌성 분석에서 과잉금지원칙 상의 목적의 정당성 분석에 관계한다.    그러나 2016년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2006년 결정을 살펴보면 반드시 성매매특별법의 목적을 반드시 ‘건전한 성풍속’으로 규정하여 합헌을 선언했는지를 불분명하다. 2006년 헌법재판소는 자발적 성매매가 성산업 전체를 활성화시키고 성산업은 특히 우리나라에서 폭력 위계 등을 동반한 강제성매매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강제성매매를 위축하기 위해서는 자발적 성매매도 규제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결과주의적 이론을 정립하였다. 2016년 헌법재판소는 이를 더 발전시켜 자발적 성제공자에도 확장적용하며 자발적 성제공자도 다른 여성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강제적 성매매를 포함하는 성산업에 기여하므로 역시 처벌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의 결과주의적 판단 역시 과잉금지원칙에 어긋난다. 왜냐하면 결과주의적인 입장에서 살펴보더라도 그 결과를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성제공자까지 처벌하는 것은 법익의 비례성 및 침해의 최소성을 위배하기 때문이다., In Korea, prostitution is punished both on the selling side as well as the buying side despite the two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on UN Convention to Eradicate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o decriminalize sex workers and the same demand from UN Women. Most recentl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2016 upheld a provision punishing a seller despite the renewed calls for full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by Human Rights Watch and Amnesty International in 2014, and the call for Swedish model by European Parliament in 2014. As a result, South Korea remains the only member of OECD countries that punishes both sellers and buyers of sex with no geographical limitation.    There are two theories of abolishing prostitution: morality and feminist. The Korean courts’ decision seems to be based on the morality because the alternative prohibitionist argument is that prostitution is a result of or an instance of sex discrimination or exploitation but this feminist argument tends to argue for exempting the victims of such exploitation and discrimination from punishment, and therefore is at odds with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position. This article reviews 4 different morality-based arguments on which the Korean courts’ decisions have been based. An analysis of the arguments shows that such stance seems to stem from stigmatization of women who have intercourse with multiple men and must be rejected as a constitutional norm in light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n adultery.    Korean Constitutional Court seems to have developed a consequentialist argument of banning voluntary prostitution: that it fosters a moral and industrial environment in which forced prostitution can thrive. It is meaningful that the court departed from the now defunct morality-based argument to a consequentialist one but there is still need for demonstrating why such voluntary prostitutes must be responsible for such indirect effect on third parties at the pain of criminal punishment.]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성매매특별법의 도덕주의적 목적 : ‘건전한 성풍속의 보호’  Ⅲ. 도덕주의에 대한 평가  Ⅳ. 2006년 및 2016년 헌법재판소 결정에 나타난 결과주의적 금지론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28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8
1927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홍석영 2018  168
1926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192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8
1924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 네트워크를 통한 생체인증 특허 분석 연구 / 김준호 2017  168
1923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92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 및 법제도 현황 / 조준현 2015  168
192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보보안정책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유록 2019  167
1920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
1919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7
1918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1917 9 보건의료 임상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 적용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김경희 2002  167
1916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19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미국 연방법 우선 적용 이론에 관하여/김장한 2014  167
1914 18 인체실험 한국 일개대학 기관생명윤리위윈회(IRB)의문제점 및 개선방안/ 주석진 2019  166
1913 2 생명윤리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이지영 2019  166
1912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6
191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1910 5 과학 기술 사회 임상연구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한 도구들 / 신철민 외 2011  166
1909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정보화 시대의 테러유형과 대응방안: 인공지능에 기반한 테러중점/이만종 2017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