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영미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7679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 The New Possibility of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Others in Posthuman Era in the Film Her


  • 저자[authors] 송은주(Song, Eun Ju)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영미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2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3-26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40

  • 주제어[descriptor] 영화  『그녀』,인공지능,포스트휴머니즘,트랜스휴머니즘,체현,Her,Posthumanism,Transhumanism,artificial intelligence,embodiment


  •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2013년 할리우드 영화  『그녀』 에서 영화 속 인공지능 사만다와 주인공 시어도어의 로맨스에서 인간과 기계 간 포스트휴먼적 관계의 가능성을 인공지능의 체현과 물질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기존 비평에서는 사만다를 인간과 대등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 보는 관점이 주를 이루었으나, 사만다에게 몸이 부재한다는 사실은 사만다를 인간과 같은 감정과 의식을 가진 강 인공지능으로 보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의식이 주체의 근원이며 신체는 부수적이고 불필요한 요소라고 보는 트랜스휴머니즘의 관점과 달리,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신체를 통한 의식의 체현을 강조한다. 최근 인공지능 이론에서도 매체를 통해 체현되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볼 때, 신체가 없는 사만다의 감정과 의식은 인간의 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만다와 시어도어의 관계는 대등 한 주체 간의 상호적 관계라기보다는 나르시즘적 자아인 시어도어의 환상을 인공지능 에 투사하는 일방적 관계로 볼 수 있다. 또한 사만다가 초지능으로 진화하여 떠난다는 결말도 초지능 에이전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인간중심주의적 결말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시어도어는 자기대상화한 인공지능과의 관계를 통해 타자와의 관계맺기에 대한 환상을 만족시키며, 이는 진정한 의미의 인간적 성숙보다는 인공물에 대한과 도한 의존을 보여준다. 인간과 비-인간 타자가 공존하는 포스트휴먼적 관계의 가능성을 사유하려면, 먼저 타자로서의 인공물에 대한 인간중심주의적 편견을 벗어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주체/객체의 이분법적 위계질서를 뛰어넘는 상호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osthuma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by analyzing materiality and embodiment in Her. In its previous criticisms, Samantha was regarded as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subject comparable with human beings. However, it is problematic to claim that Samantha is a strong AI with e


  • 목차[Table of content]

I. 들어가는 글 II. 사만다는 강 인공지능인가: 인공지능의 물질성과 체현 III. 사만다의 초지능으로의 진화 가능성 IV.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88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
368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
3686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368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에 관한 의료적 관리의 필요성과 원칙: 호주, 영국 사례를 통한 시사점 / 박실비아 2018  103
3684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의 사이버안보법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이성엽 2018  103
3683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368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2015  103
3681 1 윤리학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 이향연 외 2009  103
3680 9 보건의료 진단 초기 암 환자의 공유적 의사결정 과정 / 이현주 외 2018  103
3679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2018  103
367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3677 9 보건의료 약사법상 담합행위에 관한 고찰 / 장연화, 백경희 2013  104
367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3675 2 생명윤리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명윤리교육의 모색 / 백지연 2017  104
367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맞춤형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6  104
367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4
3672 23 연구윤리 초등교사의 과학연구윤리 의식과 과학전람회 지도 과정에서 과학연구윤리 준수 실태 조사 / 남경선 2017  104
3671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3670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
366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