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영미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7679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 The New Possibility of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Others in Posthuman Era in the Film Her


  • 저자[authors] 송은주(Song, Eun Ju)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영미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2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3-26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40

  • 주제어[descriptor] 영화  『그녀』,인공지능,포스트휴머니즘,트랜스휴머니즘,체현,Her,Posthumanism,Transhumanism,artificial intelligence,embodiment


  •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2013년 할리우드 영화  『그녀』 에서 영화 속 인공지능 사만다와 주인공 시어도어의 로맨스에서 인간과 기계 간 포스트휴먼적 관계의 가능성을 인공지능의 체현과 물질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기존 비평에서는 사만다를 인간과 대등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주체로 보는 관점이 주를 이루었으나, 사만다에게 몸이 부재한다는 사실은 사만다를 인간과 같은 감정과 의식을 가진 강 인공지능으로 보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의식이 주체의 근원이며 신체는 부수적이고 불필요한 요소라고 보는 트랜스휴머니즘의 관점과 달리,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신체를 통한 의식의 체현을 강조한다. 최근 인공지능 이론에서도 매체를 통해 체현되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볼 때, 신체가 없는 사만다의 감정과 의식은 인간의 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만다와 시어도어의 관계는 대등 한 주체 간의 상호적 관계라기보다는 나르시즘적 자아인 시어도어의 환상을 인공지능 에 투사하는 일방적 관계로 볼 수 있다. 또한 사만다가 초지능으로 진화하여 떠난다는 결말도 초지능 에이전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인간중심주의적 결말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시어도어는 자기대상화한 인공지능과의 관계를 통해 타자와의 관계맺기에 대한 환상을 만족시키며, 이는 진정한 의미의 인간적 성숙보다는 인공물에 대한과 도한 의존을 보여준다. 인간과 비-인간 타자가 공존하는 포스트휴먼적 관계의 가능성을 사유하려면, 먼저 타자로서의 인공물에 대한 인간중심주의적 편견을 벗어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주체/객체의 이분법적 위계질서를 뛰어넘는 상호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osthuma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by analyzing materiality and embodiment in Her. In its previous criticisms, Samantha was regarded as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subject comparable with human beings. However, it is problematic to claim that Samantha is a strong AI with e


  • 목차[Table of content]

I. 들어가는 글 II. 사만다는 강 인공지능인가: 인공지능의 물질성과 체현 III. 사만다의 초지능으로의 진화 가능성 IV.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3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 / 송석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7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438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 / 박지예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장준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8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발행년 2007 

  • 조회 수 438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발행년 2008 

  • 조회 수 43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발행년 2005 

  • 조회 수 44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발행년 2019 

  • 조회 수 440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441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발행년 2013 

  • 조회 수 44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발행년 2013 

  • 조회 수 441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발행년 2006 

  • 조회 수 441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발행년 2008 

  • 조회 수 441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정부의 관리 전략 / 정순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441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42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