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우리말 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3846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상징적 자살의 윤리학 

= Study on the ethics of symbolic suicide in Kim Seung-ok’s novels - With a focused on 『Hwansangsoochub』 -

  • 저자[authors] 조소명(Cho, So-my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우리말 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6No.-[2018]
  • 발행처[publisher] 우리말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7-32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김승옥,환상수첩,윤리,상징적 자살,부정의 부정,주체적 궁핍,Kim Seung-ok,Hwansangsoochub,Ethics,Symbolic suicide,Negation of negation,Subjective destitution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김승옥의 『환상수첩』에 나타난 자살 모티프에 주목하고 그 윤리적 함의를 검토한 것이다. 자본주의적 근대의 도래는 절대적인 진리, 분명한 윤리적 실체, 인륜적 보편성 등을 의미하는 주인담론의 쇠퇴를 불러왔고, 그 대신 생존과 자기보존을 최상의 가치로 격상시켰다. ‘옳고 그름’의 문제보다 ‘생존과 죽음’의 문제가 더욱 중요해진 것이다.『환상수첩』에는 이러한 현실 속에 놓인 청년들이 등장한다. 수영과 영빈은 현실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기보존에 주력한다. 반면, 주인공인 정우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고민하면서 자기보존이라는 근대의 일반적인 모럴에 맞서 새로운 윤리를 찾고자 한다. 그 가운데 선애의 죽음과 곡예사 이씨의 죽음은 그에게 중대한 변화를 일으킨다. 본고는 특히 선애와 이씨의 행위가 지니는 윤리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라캉의 ‘상징적 자살’이라는 개념을 참조하였다. 상징적 자살이란 물리적 자살과는 철저하게 구분되어야 하는 것으로, 주체가 자신의 정체성을 제공해주었던 외적 현실과의 연결고리를 완전히 끊고 아무것도 의존하지 않은 채로 주체적 궁핍에 머무는 것을 뜻한다. 본고는 이러한 이론적 틀로『환상수첩』을 분석하면서, 김승옥 소설이 ‘자아와 현실의 이항대립’에서 부정의 부정으로의 이행을 보여준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a suicide motif in 『Hwansangsoochub』 written by Kim Seung-ok, and examines the ethical implication. The advent of capitalist modernity brought a decline in the discourse of the master, meaning as an absolute truth, an ethical substantial, an ethical universality and so on. Instead, it brought the fact that the survival and self-preservation is upgraded as the highest value. That means the issue of ‘survival and death’ is more important than the ‘right and wrong’. The youngsters who are in this reality appear in 『Hwansangsoochub』. Soo-Young and Young-Bin concentrate on the self-preservation by any means necessary keeping up with the realistic flow. On the other hand, Jeong-Woo agonizes about ‘how can we live’ and tries to find a new ethic fought against the general moral such as a self-preservation. In the mean time, the death of Sun-Ae and Mr.Lee, the acrobat, arouses his significant changes. This article searches the ethical implication about the act of Sun-An and Mr.Lee, and refers the term of the ‘symbolic suicide’ written by Lacan. Symbolic suicide has to be thoroughly distinguished by a physical suicide, meaning that the subject sever the link between the identity and external reality, and stay in the subjective destitution. The study analyzes 『Hwansangsoochub』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reconsider the preexisting discussions that the novel of Kim Seung-ok could reaches a dialectical synthesis or not from the ‘opposition between the ego and the reality’.]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1. 들어가며  2. 가면 쓰기와 위악의 제스처  3. ‘하나의 얼굴’을 고수하기  4. ‘뻥 뚫린 구멍’의 윤리적 위상  5. 나가며 -1960년대와 상징적 자살의 윤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08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2011  202
240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1  202
2406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2
24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자살관념 생성과 극복에 관한 사례연구 / 강준혁 외 2017  202
240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정비 / 전유라 2017  202
2403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2
240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2401 9 보건의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례의 입장 고찰 -의료법상 '면허된 의료행위' 해당 여부의 판단-/곽숙영 2014  203
2400 2 생명윤리 모자보건법 제14조에 대한 헌법적 고찰과 제언 : 인간 생명의 가치를 중심으로/이경의 2014  203
2399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239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2397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2396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395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3
2394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39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의 법적 의미와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 2003  203
239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2391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검토를 통한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 방향에 관한 제언 ― 대상 및 범위의 확대와 의사(意思) 추정 및 대리의 적절성 담보를 중심으로 ― / 강다롱 2018  203
2390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2389 5 과학 기술 사회 사례분석을 통한 공학윤리적 고찰/김경천 2002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