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應急醫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36861 
응급실기반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 사업 동의의 결과와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 

= Case management of suicide attempters seen in emergency rooms: result and factors affecting consent to follow-up

  • 저자[authors] 김호중 ( Hojung Kim ), 김신겸 ( Shin-gyeom Kim ), 오희주 ( Heeju Oh ), 최선진 ( Sunjin Choi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應急醫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2[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응급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60-1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Suicide, Attempted suicide, Case management

초록[abstract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ent of case management for suicide preventio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32 suicide attempters from September 1, 2015 to August 31, 2016 at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Korea. A retrospective char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hi-square test or Fisher exact test, as well a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 ver. 3.3.3).  Results: The positive factors affecting case management consent were direct face-to-face counseling with a case manager, patient’s age, suicide attempt without alcohol, first suicide attempt, and no psychiatric history. In addition, suicide attempters who underwent follow-up case management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outpatient mental health care. Through the case manager, continuous emotional support and encouragement were provided to the suicide attempt, which proved to be effective.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se management for suicide attempters visiting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suggests that the cooperation of national and regional systems should be expanded to increase the case participation rat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8 2 생명윤리 인체 유래물 사용 연구와 생명윤리법 / 김용진 2018  57
247 8 환자 의사 관계 정부 지원 환자안전 연구의 타당성 검토 / 이 원 외 2018  56
246 9 보건의료 한국노년학의 보건ㆍ의료ㆍ건강영역 연구동향 / 김현숙 외 2018  56
2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6
244 9 보건의료 새 정부에 바라는 보건의료와 건강정책 / 우석균 2017  56
243 19 장기 조직 이식 Can the Brain-Dead Be Harmed or Wronged? On the Moral Status of Brain Death and its Implications for Organ Transplantation / Nair-Collins, Michael 2017  56
242 9 보건의료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의료 지출 현황 비교 / 조민우 2018  56
241 9 보건의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서 「中國侵权责任法」상 의료손해 책임에 관한 연구 / 방성환 2017  56
240 9 보건의료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 김이형 2015  56
239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 김창수 2008  56
23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과 과제 / 김장한 2017  56
237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236 9 보건의료 질환 중심 의료 데이터 융합 모델을 통한 템플릿 기반 의료 정보 제공 기법 / 박예슬 2017  56
235 15 유전학 유전체(Genomics) 연구의 윤리 / 강병수 2007  56
23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논의와 내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이동익 2008  56
233 15 유전학 Regulatory Issues for Clinical Gene Therapy Trials 2002  56
232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231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5
230 9 보건의료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의사결정능력 장애인과 의사결정지원 / 말콤 샤이벤스 2018  55
22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