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818185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와 적응

=  Uncertainty, Coping, and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s of Anticancer Drugs

  • 저자[authors] 김수희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i, 73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2018. 2
  • DDC[DDC] 610.73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항암제 임상시험,암환자,불확실성,대처,적응
  • 소장기관[Holding]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32)

초록[abstracts] 
최근 국내에서 시행되는 임상시험이 활발한 가운데, 항암제 임상 시험이 가장 많은 건수를 차지하고 있다.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면역항암제나 표적항암제 등에 대한 활발한 개발로 인하여 항암제 임상시험에서 필요로 하는 피험자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암환자들은 밝혀지지 않은 약제의 안정성과 유효성 등으로 인하여 언제 발생할지도 모르는 부작용이나 중도탈락 등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이는 결국 이들의 질병에 대한 적응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는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 그리고 적응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대상자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자발적으로 동의한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118명의 암환자이다. 자료는 2017년 7월 5일부터 8월 18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불확실성은 Mishel의 질병 불확실성 도구, 대처는 김종남의 한국판 암 대처 질문지, 그리고 적응은 Derogatis와 Lopez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자가보고식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평균 41.34±11.42점, 대처는 평균 62.49±13.05점 으로 중등도 수준이었다. 대처의 하부영역인 대인간 대처의 문항 평균은 2.81±0.85점, 개인내 대처의 문항 평균은 2.66±0.53점 이었다. 또한 적응은 평균 158.24±24.28점으로 중등도 수준 이었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적응은 연령(p=.038), 교육수준(p=.016), 경제상태(p=.014), 임상시험에 대한 만족도(p=.009), 임상시험에 대한 이해도(p=.040), 임상시험용 항암제 제형(p=.013), 임상시험 약으로 인한 불편감(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불확실성과 적응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고, 대처와 적응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처, 불확실성, 임상시험용 항암제 제형 중 경구제와 주사제 병용, 연령, 임상시험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Adjusted R2=.45, p=.018). 결론적으로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 및 적응 정도는 중등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불확실성, 대처 및 적응은 상호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처, 불확실성, 임상시험용 항암제 제형 중 경구제와 주사제 병용, 연령, 임상시험에 대한 만족도 순이었다.   따라서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암환자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대처 능력을 향상 시키고 불확실성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개인내 대처를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동시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을 고려하여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암환자들의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항암제 임상시험, 암환자, 불확실성, 대처, 적응 학  번: 2014-20390

초록[abstracts]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trials of anticancer drugs are expected to be increased due to the active development of targeted therapy and immunotherapy. However, cancer patients in clinical trials are facing uncertain situations due to the unknown safety and efficacy of new drugs, and this uncertainty often produces psychosocial problems such as concerns about side effects, fear for dropping during the clinical trial process, and regret for giving up other treatments,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uncertainty, coping, and adjustment in cancer patients who participate in cancer clinical trial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adjustment. A descriptive correlation design was used. Before collecting the data, the study was reviewed and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18 cancer clinical trial participants from July 5 to August 18 in 2017.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o Illness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uncertainty in participants was 41.34±11.42 out of 80 and that of coping was 62.49±13.05 out of 92. The item mean of individual coping was 2.66±0.53 and that of interpersonal coping was 2.81±0.85. The average score of adjustment was 158.24±24.28 out of 230. 2)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level of understanding of cancer clinical trials, satisfaction with cancer clinical trials, a type of an investigational product that is an anticancer drug, and physical discomfort due to an investigational product. 3) Adjustment of the participa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uncertainty (r=-.46,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ping (r=.50, p<.001). 4)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adjustment of the participants was explained by coping, uncertainty, a type of investigational products, age, and satisfaction with cancer clinical trials, accounting for 45.0% of the varianc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coping. In conclusion, the levels of uncertainty, coping, adjustment in cancer clinical trials participants were moderate,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mong uncertainty, coping, and adjustment. Uncertainty and cop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justment. Therefore, interventions focused on decreasing uncertainty and improving coping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adjustment. Keywords: cancer clinical trials, cancer patient, uncertainty, coping, adjustment Student Number: 2014-203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22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상오 2018  220
22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 환자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권세희 2009  221
2226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22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재민 2010  221
2224 8 환자 의사 관계 공동의사결정에서 의사결정 코칭(Decision Coaching)의 함의/이은영 2015  221
222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222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222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2009  221
» 9 보건의료 항암제 임상시험에 참여 중인 암환자의 불확실성, 대처와 적응 / 김수희 2018  221
2219 1 윤리학 Understanding 'Anticipatory Governance' 2014  222
2218 18 인체실험 소아 참여 임상시험에서 부모의 임상시험의 이해도와 설명만족도/안주희 외 2016  222
2217 1 윤리학 기업범죄에 있어 대향적 관여자의 형사책임 / 홍태석 2016  222
2216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2215 14 재생산 기술 FCST 맞춤형 음양균형장치를 위주로 한 보조생식술 실패 후 난임 치료 후 출산 증례 / 채기헌 2015  222
221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자의적인 안락사 2006  222
2213 2 생명윤리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빅 데이터와 임상적 활용 / 고윤희 2017  222
2212 5 과학 기술 사회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법상 논의 동향 / 고재종 2018  222
2211 15 유전학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이종우 2006  222
2210 1 윤리학 관계적 돌봄의 철학 / 허라금 2018  222
2209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2018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