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65312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Recognition of the surrogate motherhood shown in the records of nanny written by intellectual men in the late Chosun Dynesty



  • 저자[authors] 서경희(Seo kyung h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5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9-37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10
  • 주제어[descriptor] 유모,모성,대리 모성,가족,nanny,motherhood,the surrogate motherhood,family


  •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이 남긴 유모 관련 기록들에 나타난 대리 모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모의 사후에 쓰인 남성지식인들의 기록은 대체적으로 유모의 삶 가운데 자신과의 인연을 중심으로 서술되며 유모로서의 근면함이 덕성으로 강조된다. 그 가운데 드러나는 유모의 현실은 본인의 자식이나 남편과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가정을 이루지 못하고 가혹하게는 자식을 잃는 경우도 생기며, 낮은 신분과 빈곤한 경제사정으로 인해서 모성의 전이가 강제되어 보살피는 아이에게 모성을 소진하고 정성과 바람을 투사하는 것이었다. 유모의 노역을 담당하는 인물들의 이러한 행동들은 기록자에게 주인 집안의 가족 일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진정성으로 기억되기보다는 주인 집안에 대한 충성으로 읽혔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 지식인들의 글에서 유모에게 기대하는 자질이나 미덕과는 달리, 유모를 수유나 양육을 담당하는 대리모성으로서 사용 가능한 소유물로만 판단하지 않고, 본인과 그 가족까지 아우른 관계 속에서 모성을 가진 한 인간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존재했다. 유모의 노역을 하는 여성의 실체를 그 삶의 질곡 속에서 분명하게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선은 신분적으로나 젠더면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 힘든 대리 모성에 대한 이해를 드러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surrogate motherhood in the records of nannies left by the male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records of male intellectuals written after the death of the nanny generally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order in the life of the nanny, and the diligence as a nanny is emphasized by virtue. The reality of the nanny revealed in it is that it does not form an emotionally familiar family with the child or the husband, and the child is killed severely. And the nanny is forced to transfer maternity because of low status and poor economic circumstances, so that she exhausts maternity and projects qualities and winds to the child she cares for. These nanny behaviors are read as loyalty to the owner s family, rather than being remembered as authenticity that can be accepted as part of the employer s family. However, unlike the qualities and virtues expected from a nanny in these male intellectuals writings, a nanny is not regarded as a possession to be used as a substitute maternity for breastfeeding or nurturing, There was also a gaze in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as a human being with maternity. This gaze reveals an understanding of the surrogate motherhood, which is difficult to give a voice in terms of status and gender.]


  •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서론 2. 유모에 대한 현실적 인식과 당위적 예제(禮制) 3. 유모 기록에 나타난 추모의 방식과 이면의 삶 4. 대리 모성에 대한 재인식의 가능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미성

발행년 2010 

  • 조회 수 48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3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발행년 2007 

  • 조회 수 483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발행년 2008 

  • 조회 수 484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4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발행년 2013 

  • 조회 수 48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발행년 1998 

  • 조회 수 48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발행년 2015 

  • 조회 수 48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5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5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발행년 2012 

  • 조회 수 48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발행년 2005 

  • 조회 수 487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7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8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8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발행년 2019 

  • 조회 수 488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발행년 2014 

  • 조회 수 489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발행년 2015 

  • 조회 수 489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