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과 말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34443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Beyond the Modern Philosophy of Death : Rene Girard and Life Theology

  • 저자[authors] 정일권 ( Chung Il Kwae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과 말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018]
  • 발행처[publisher]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4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르네 지라르, 죽음의 철학, 포스트모더니즘, 생명신학, 니체, 하 이데거, Rene Girard, Philosophy of Death, Postmodernism, Life Theology, Nietzsche, Heidegger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니체가 선포한 유대-기독교의 도덕적‘신의 죽음’이후에 20세기에 일시적으로 유행한 많은‘죽음의 철학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이후 디오니소스적 니체 철학과 그 100년의 유산을 학문적으로 전복하고 있는 르네 지라르의‘십자가의 인류학’의 빛으로 짙은 허무주의적 차원에 갇힌 포스트모던적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의미와 진리를 새롭게 발견하는 생명의 철학과 생명의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신에 대한 죽음에 대한 말은 이후 현대 철학, 특히 프랑스 일부 철학자들이 주도한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서 주체의 죽음, 진리의 죽음 그리고 윤리의 죽음을 가져왔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에서 볼 수 있는 죽음과 폭력에 대한 매혹은 바타이유, 그리고 데리다와 푸코 등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이 니체의 철학적 유산은 반기초주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말하는 진리와 윤리의 죽음과 해체에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르네 지라르의 분석처럼‘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말 이후로 포스트모던적 시대정신 속에서 주체의 죽음, 인간의 종말, 역사의 종말 등등 온갖 종류의 죽음과 종말이 유행했다.‘신은 죽 었다’라는 구절 뒤에 등장하는 니체의 『즐거운 학문』의 또 다른 구절“우리가 그를 살해했다”라는 구절은 점차적으로 망각되었 다. 또한 니체의‘신은 죽었다’는 신학에서 사신신학으로 이어지 기도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postmodern fascination with death and violence since the proclamation of‘God is dead’by Nietsche. And overcoming this kind of philosophies of death, this paper seeks a new possibility of life philosophy and life theology in the mimetic theory of R. Girard. Nietzsche instituted the“death of God”movement, which he knew would lead to the death of fixed meaning and objective truth. After the‘death of God’, the subject died in the hands of post-modern deconstructor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The Death of the Author”are closely related to the post-modern trends of collapse of meaning, inability of originality, the death of God  Charles Taylor analyses a kind of revolt against the primacy of life in the name of the great, the exceptional and the heroic. For Taylor the most influential proponent of this kind of view has been Nietzsche. And it is significant, according to him, that the most important anti-humanist thinkers of our time: e.g., Foucault, Derrida, behind them, Bataille, all draw heavily on Nietzsche. The fascination with death and violence recurs in the interest in Bataille, shard by Derrida and Foucault. What Charles Talyor have been calling the immanent counter-Enlightenment thus involves new valorization of, even fascination with death and sometimes violence. It rebels against the exclusive humanism that dominates modern cultu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68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5
»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죽음의 철학을 넘어서 : 르네 지라르와 생명신학 / 정일권 2018  166
2766 22 동물복지 국내 실험동물시설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조정식, 김길수 2015  166
2765 23 연구윤리 IRB와 구술사 연구윤리 : 한민족다문화 협력적 구술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Christian Joon 2016  166
2764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2763 9 보건의료 의료 정보 추출을 위한 TF-IDF 기반의 연관규칙 분석 시스템 / 박호식 2016  166
2762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
2761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6
2760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정보화 시대의 테러유형과 대응방안: 인공지능에 기반한 테러중점/이만종 2017  166
2759 5 과학 기술 사회 임상연구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한 도구들 / 신철민 외 2011  166
275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2757 8 환자 의사 관계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행위와 환자의 법적 구제수단 - IBM Watson(왓슨)의 이용을 중심으로- / 이현경 2018  166
2756 2 생명윤리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이지영 2019  166
2755 18 인체실험 한국 일개대학 기관생명윤리위윈회(IRB)의문제점 및 개선방안/ 주석진 2019  166
27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미국 연방법 우선 적용 이론에 관하여/김장한 2014  167
2753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2004  167
2752 9 보건의료 임상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 적용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김경희 2002  167
2751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2750 17 신경과학 이타주의에 관한 신경생물학 연구의 의의와 한계 / 이상희 2017  167
2749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