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42604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 with focus on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 culture

  • 저자[authors] 엄인향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iii, 57장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서문경애<br>참고문헌(장 36-42)과 부록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2014.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 임상간호사,간호업무성과,윤리적 가치관,간호조직문화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

초록[abstract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with focus on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objects of research were 156 clinical nurses who work at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the date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3, 2013 to December 27.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are the nursing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o, Lee & Lim(2007), the ethical values​​ measurement tool used in study of Jong & Moon(1995),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ol used in study of Lee, Jin & Ju(2011).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window version 21.0.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for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was 3.95(±.52). The average level for ethical values was 3.36(±.27) and the average level for organizational culture was 2.57(±.43).    2. There was a significant in the level of nurs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such as their age(F=5.907, p=.003), marital status(t=-3.227, p=.002), education level(F=9.114, p=.001), the total clinical career(F=5.261, p=.002), the current organizational career(F=5.620, p=.001). In the others, nursing performance was higher in married, the mor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clinical career and current organizational career.    3.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thical values(r =.467, p=.001). Also,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r=.185, p=.021)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4. The most affecting factors on nursing performance was ethical values(β=.439, p=.001), followed by the current organizational career (β=.257, p=.001), and these two variables explained 28.4% of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performance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ethical values, that was influenced by a lot of ethical values​​. In addition, ethic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 weak correlation, and the current organization career have an effect on nursing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ethical values ​​is very important. Also that can be used in an efficient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practice and effective strategie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refore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strive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ve ethical values​​, as it is expected to development of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Key words: Clinical nurse, Nursing performance, Ethical values, Organizational cultu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28 9 보건의료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 강군생 외 2017  241
2627 18 인체실험 사람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이식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효율적 분화 / 이용희 2009  241
2626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에 관한 우리나라 성인의 인식 조사/권복규 2015  241
2625 15 유전학 정치철학자 샌델의 유전공학윤리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나서/강명신 2011  241
»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영향요인 :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 엄인향 2014  240
262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자긍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미정 2013  240
2622 8 환자 의사 관계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 백경희 2015  240
2621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262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 장욱 2013  240
2619 5 과학 기술 사회 IoT 중심의 사회복지시설 정보화 현안과 정책 과제 / 이연희 외 2016  239
2618 15 유전학 유전자조작벼 상용화의 법적 문제 / 김은진 2017  239
2617 2 생명윤리 대학생의 공감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연관성 / 위지희 2017  239
261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교감하는 감성로봇 관련 기술 및 개발 동향 / 김평수 2016  239
2615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2614 15 유전학 연구논문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윤나 2015  239
261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보도가 장기기증 등록 행위에 미치는 효과 / 김병철 2011  239
2612 15 유전학 기계학습을 통하여 암을 분류하는 유전자 집단 확인 / 임수정 2019  238
261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2610 1 윤리학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이문재 2018  238
260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