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290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Tendances légales des gestation pour autrui (GPA) en France (Legal trends on Surrogacy in France)

  • 저자[authors] 김현진(HYUNJIN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江原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2018]
  • 발행처[publisher]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1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대리모출산,대리모계약,자궁대리모,출생증명서의 등록,입양,아동의 최선의 이익,GPA,mere porteuse,parents d`intention,transcription,adoption,l’interet superieur de l’enfant,surrogate,gestational surrogate,mater semper certa,transcription of birth certificate,adoption,best interest of child

초록[abstracts] 
[1991년 최초로 대리모계약을 둘러싼 파기원 판례가 등장한 이래 현재까지 대리모는 프랑스사회에서 뜨거운 이슈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프랑스민법에 대리모계약은 효력이 없다는 규정을 두는 한편, 형법상 그 중개인과 의사를 처벌하자 프랑스 국내의 대리모출산은 사라졌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해외로 대리모출산여행을 떠나기 시작했고, 2000년 무렵 해외에서 태어난 아이의 프랑스 민사신분등록부에의 출생등록이 문제되었다. 이는 국제사법적 요소를 포함하는데, 출생증명서에 법적인 모로서 출산모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와 의뢰모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 쟁점이 달라진다. 후자는 출생증명서의 내용이 허위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프랑스의 대리모 논쟁은 Mennesson 쌍둥이 소녀들에게 파란만장한 인생을 가져왔다. 200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미국인 대리모에 의해 태어난 Valetina와 Florella는 아버지가 프랑스인이었음에도 15세가 되어야 프랑스 국적을 얻게 되었고, 16세에 이르러서야 아버지와의 친자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의뢰모인 Silvie는 여전히 법적으로 모가 아니다.    불임부부를 넘어, 동성혼부부를 포함한 “모두를 위한 대리모”제도를 향해 오늘도 프랑스는 전진해가고 있다. 프랑스의 예에서 보듯, 대리모계약이 바람직한가의 논의와 이미 대리모출산을 통해 태어난 아이들의 국적 취득권과 친자관계를 형성할 권리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국제사법이슈가 문제되어, 전 세계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프랑스의 대리모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의들은 향후 우리나라의 대리모 문제를 해결함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대리모 제도 일반 및 프랑스의 관련 법규  Ⅲ. 대리모와 관련한 프랑스의 사법적 대응  Ⅳ. 나가며  참고문헌  Résum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2628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627 2 생명윤리 동물의 권리문제와 불교의 생명윤리 / 허남결 2011  180
»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2018  180
2625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
26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1
2623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81
26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1
2621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620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61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81
2618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617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1
2616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1
2615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2
261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2
261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2
2612 18 인체실험 국내 IRB 운영의 개선방안 / 박병주 2002  182
26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61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60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