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커뮤니케이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31529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Signification and Challenges of the Act on Life-Prolongation Determination - With focus on Patient-Oriented Medical Care

  • 저자[authors] 김용 ( Yong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커뮤니케이션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6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the Act on life prolongation determination, the Well-Dying Act, patient, communication, 연명의료결정법, 환자, 커뮤니케이션, 의료기관

초록[abstract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ignification and challenges of the Act on life prolongation determination of a patient who is going under hospice palliative medical care and a deathbed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ell-Dying Act”) from a position of a patient. Methods: To improve the problems exposed in the process of enforcement of the Well-Dying Act, it’s important to find a solution point after looking into improvements from a position of a patient through communication in line with the intent of law enactment. Hereupon,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improvements through the interviews with family members of a patient, and doctors. Results: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s include reduction in the domain of family for consent to an interruption of life prolongation medical car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a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for implementing the Well-Dying Act, simplification of the relevant form, abolition of a criminal penalty clause, and introduction of an authorized agent, etc. Conclusion: This study thinks that it stands to reason to limit the domain of family for consent to an interruption of life prolongation medical care to a patient’s spouse, parents and children in principle; nevertheless, when all these persons are not existent, reasonable is the way to impose a duty of getting unanimous consent to a patient’s well-dying from all direct lineal ascendants and descendants of the patient on a relevant medical institu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823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통합 방안 / 정일영 외 2018  67
82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8  99
821 1 윤리학 여성 보건의료인 대상 성희롱 실태 / 김규연 2018  116
820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81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818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 김순석 외 2018  70
817 9 보건의료 주요 선진국에서의 보건의료 지출 현황 비교 / 조민우 2018  56
81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 이다은 외 2018  120
815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 강신익 2018  141
814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813 9 보건의료 고령사회에 대응한 보건의료체계 개편의 시급성 / 박은철 2018  63
812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소비선택에서 개인 의사결정의 인지적 과정 탐구 : BRCA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의 사례 / 주정민 2018  230
8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의사조력자살 간 경계에 관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외 2018  173
81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배경과 법률 내용 / 백수진 2018  238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 김용 2018  166
8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80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
80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4
805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2018  64
80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