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89182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 

= The Necessity for End-of-Life Care Education: A Preliminary Analysis with Intern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 저자[authors] 김도연,김경지,신성준,권복규,남은미,허대석,이순남,Kim, Do Yeun,Kim, Kyong-Jee,Shin, Sung Joon,Kwon, Ivo,Nam, Eun Mi,Heo, Dae Seog,Lee, Soon Na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1-12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임종돌봄,의학교육,임상실습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는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개 대학병원의 64명의 인턴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임종돌봄 교과과정의 강의습득 경험과 임상견학 경험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임종돌봄 관련 교육이나 진료에 대한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7개의 자가평가질문을 파악하였다. 결과: 임종돌봄 교과과정 강의 습득과 임상실습 견학 개수의 평균은 각각 5개(총 영역 개수: 9)와 2개(총 영역 개수: 7)였다. 가장 많이 교육받은 항목은 나쁜 소식 전하기(96.9%)였고 임상실습 동안 가장 많이 견학한 항목은 신체증상 조절(56.5%)였다. 그러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포함한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경험은 20% 미만이었다. 임종돌봄 단독 교과목 교육군은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임종돌봄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관심도, 준비됨의 7가지 항목에서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임종돌봄이 필요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인턴들이 임종돌봄에 대한 교과과정 습득과 임상경험이 매우 부족함을 관찰하였다. 추후 국내 임종돌봄 교육에 대한 의과대학교육의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여 관련된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는 교육체계를 세울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end-of-life (EoL) care education provided to new intern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incoming interns (N=64). The levels of acquire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clinical observation were measured. Seven areas for self-assessment questions were identified and used to analyze the interns' attitudes towards EoL-related education and practice. Results: On average, participants learned five elements (nine in total) from EoL-related classes and two (seven in total) from clinical observation. The most frequently educated element was how to deliver bad news (96.9%) in the classroom setting and how to control physical symptoms (56.5%) in clinical observation. Less than 20% received training on EoL care communication, including discussion of advanced directives. Compared with participants who had no EoL training, those who had EoL training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all seven categories regarding overall satisfaction, interest and preparedness in relation to EoL-care classes and practice. Conclusion: Although interns are responsible for caring of dying patients, their EoL training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was very insufficien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an education system that provides sufficient knowledge and training on EoL ca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8 5 과학 기술 사회 [아이로봇] 브레인-로봇신문 공동 기획 - 인공지능AI, 심리적 불안과 생활 속 편리함 사이/편집부 2015  360
3387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338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3385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9
3384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의료체계의 문제점 및 제도개선 방안/ 박주연 외 2017  359
3383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윤리에 대한 연구 : 『책임의 원칙』을 중심으로 / 윤동진 2003  359
338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3381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3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7
3379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3378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6
3377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6
3376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6
3375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6
3374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55
3373 1 윤리학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송동수 외 2017  355
337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5
3371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337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3369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