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87983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Self-tracking Technology and Personal Autonomy for Personalized Healthcare

  • 저자[authors] 류재한(Ryu Jae h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5No.-[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9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151
  • 주제어[descriptor] 생명의료윤리,과학철학,자기추적기술,정밀의료,빅데이터,협의의 생명윤리적 자율성,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관계적 자율성,self-tracking technology,personalized healthcare,big data,relational autonomy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초록[abstracts] 
[본 본문은 자기추적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정밀의료 시대에 자율성 존중 논의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존중의 대상이 되는 자율성 개념, 즉 협의 생명의료윤리적 자율성과 관계적 자율성을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먼저 협의의 생명의료윤리적 자율성(narrow bioethical autonomy)으로 규정되는 탐 비첨(Tom Beauchamp)과 제임스 췰드리스(James Childress)가 제시하는 자율성 논의를 검토를 통해서, 자율성 개념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런 다음에 협의의 자율성 보다 확장된 광의 자율성으로써 관계적 자율성이 새로운 상황에서 윤리적 지침을 형성하는 대상으로 적합한 자율성 개념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autonomy, which is the subject of respect, namely, narrow bioethical autonomy and relational autonomy, before discussing autonomy in the era of personalized healthcare based on self-tracking technology. There is a ne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autonomy concept through a review of the autonomy debates presented by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Then, I suggest that relational autonomy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as a broader autonomy than the autonomy of consultation is a suitable concept of autonomy as an object to form ethical guidelines in a new situation.]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개요] 1. 들어가는 글 2. 기존 개념과 새로운 상황 3.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발행년 2004 

  • 조회 수 83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의료 산업분야종사자를 위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선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연방의사협회 죽음의 동행 원칙 / 이석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7 의료사회학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 지표 개발 연구 / 이영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3 인구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 인구정책 및 가족정책 논의 / 신정완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82

1 윤리학 미국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2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82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8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발행년 2016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발행년 2015 

  • 조회 수 8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서비스종사자의 역할갈등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임순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9 보건의료 정밀의료를 위한 자기추적기술과 개인의 자율성 / 류재한

발행년 2018 

  • 조회 수 81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발행년 2017 

  • 조회 수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