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72627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저자[authors] 송이은,김지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5[2018]
  • 발행처[publisher]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1-18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초록[abstracts] 
[가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이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서 완전히 벗어나 가족을 구성하는 구성원 개개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부모가족은 이혼이나 사별 혹은 비혼 등 개인의 혼인 관련 상태와 출산이라는 생애경험이 결합한 상황으로써 다양한 가족형태가 확산과 모든 가족형태를 일반적인 가족형태로 하는 사회적인 인식확산을 통해 저출산 해소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인식변화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현재 한부모 집단이 경험하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어떤 부분이 있는지에 대한 탐색 작업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텍스트마이닝 분석결과 건강/경제/교육/사회가 주요 키워드로 포착되었다(검색어: 한부모, 편부모, 편부, 편모 _ 편부모, 편부, 편모 등은 부적절한 용어이나 여전히 기사 등에 쓰이고 있기에 검색어에 포함함). 이 결과에서 주목 할 만한 것은 해당 결과에서 아동이나 자녀들에 대한 키워드들이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크게 두 파트로 구성된다. 먼저, 한부모가족 및 저소득 여부가 부모의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한다. 기존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한부모가 배우자가 있는 부모에 비해 신체건강이 더 좋지 않으나 이것이 가족구조 혹은 형태로 인한 불이익인지는 검증이 필요하다. 한부모의 건강상 불이익은 저소득층이 아닐 경우에는 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구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해당 불이익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성인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5차년도, 8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5세 미만 자녀가 있는 남성 2,240명과 여성 2,321명이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 양부모에 비해 신체건강수준이 유의미하게 낮다는 가설은 여성 한부모 집단에서만 지지되었다. 둘째, 한부모라도 소득중상층인 경우는 소득중상층 양부모보다 신체건강수준이 낮지 않다는 가설이 여성한부모와 남성한부모 집단 모두 지지되었다. 셋째, 저소득 한부모는 중상위소득 양부모보다 신체건강수준이 크게 낮다는 불이익증폭 가설 역시 여성한부모와 남성한부모 집단모두에서 지지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이 연구의 두 번째 분석으로 한부모가족 및 저소득인 집단에서 미성년자녀의 정신건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어떠한 곤란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가족관계인 가족갈등에 주목한다. 사회적, 정책적으로 불평등을 경험하는 저소득한부모 집단 내에서도 이중적인 불평등을 경험할 수 있는 자녀 즉 아동청소년에 주목한다. 미성년 자녀들은 경제적으로도 그리고 가족내 관계에서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를 점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며, 이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권리의 관점에서 내적갈등과 외적갈등에 주목하고 이것이 자녀(아동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가족갈등과 관련한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한부모가족이 경험하는 주요 갈등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결과  4. 가족 및 건강 정책 해외사례 검토: 스웨덴과 유럽의 지역사회 참여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84
3748 9 보건의료 한국 HIV/AIDS 감염인 운동의 흐름과 쟁점 / 임정섭 2011  103
3747 1 윤리학 개인정보 관련 법령의 실무적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 박광배 2017  103
37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쟁점과 개선방향 - 시민참여형 모델구축의 탐색을 중심으로 - / 박대웅 외 2017  103
3745 14 재생산 기술 법률상 모(母) 개념의 해체와 헤테로토피아 - 대리모의 자궁을 중심으로 - 2017  103
37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8  103
3743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활용의 각국 법안 비교 분석 연구 / 임은정 외 2018  103
3742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103
3741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의 나고야의정서상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국내이행 법제 동향 / 김두수 2018  103
3740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2018  103
373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 김민우 2018  103
3738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373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정미렴 2018  103
3736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4
3735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4
373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대국민 교육프로그램 개발 / 태윤희 2016  104
373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지식재산 정책의 변화 / 손수정 2016  104
3732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3731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2011~2015년 / 조승현, 양영애 2016  104
3730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37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장려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저항 : 개인의 저항 성향과 정보원 요인을 중심으로 / 김현정 201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