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886230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 Sociological Study on Morality and Moral Judgment : Focusing on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n Society

  • 저자[authors] 최미라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67 p. : 삽화.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최샛별<br>참고문헌: p. 132-14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2018. 8. 졸업
  • DDC[DDC] 3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0954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도덕이라는 주제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서 사회학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론에 대한 풍부한 고찰과 관련된 실증연구를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한국사회의 도덕문화의 구성과 다양한 사회적 사안을 둘러싼 도덕적 판단의 양상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는 도덕사회학의 쇠퇴와 귀환이 문화적 전환이라는 사회과학 전반에 걸친 학문적 패러다임과 관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 도덕사회학 연구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도덕심리학 연구와의 간학문적 소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그중에서도 도덕기반이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도덕기반이론은 도덕적 판단의 기제로서 직관에 주목하고, 범문화적인 도덕성의 유형 분류체계를 고안해내 이를 기반으로 도덕성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사회학적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증연구 측면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론적 논의들이 한국사회에도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사회의 도덕성의 유형이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검증된 5요인 체계와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사회의 논쟁적 사안으로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네 가지 이슈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각 사안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도덕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셋째, 각 사안의 도덕적 판단에 사회인구학적 특성, 도덕기반, 가치관과 문화성향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EFA),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도덕기반은 서구사회에서 확인된 바와 다르게 ‘감정적 혐오감’, ‘공정성 추구’, ‘결속 중시’, ‘종교적 승인’이라는 네 가지 요인으로 유형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감정적 혐오감’ 요인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도덕성의 형태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성은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사안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의미에 차이가 있었다. 분석 결과, 낙태는 도덕적인 이슈이지만 찬반이 분분하게 나뉘는 이슈, 안락사와 임산부 배려석은 도덕적인 이슈이면서 찬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슈, 노키즈존은 다양한 결에서 의견이 갈리어 복잡한 성격을 갖는 사안임을 알 수 있었다. 네 가지 사안에 대한 도덕적 평가에 어떠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도덕기반과 가치관 및 문화성향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사안마다 도덕적 판단을 설명하는 변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낙태와 안락사의 경우에는 이에 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도덕기반이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판단에도 도덕기반이 가장 큰 설명요인이었다. 그러나 노키즈존에 대한 판단에는 도덕기반의 설명력이 다른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 높지 않아, 각 사안이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에 따라 도덕성의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도덕문화를 유형화하여, 다른 문화권과 한국사회 도덕문화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도덕성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사회학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안을 다양한 맥락과 결에서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일반적인 차원부터 맥락적인 차원까지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인 방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결의 사회적 사안의 성격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도덕기반의 영향력의 범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초록[abs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dea that morality, once marginalized in social science, is in fact an important theme that must be addressed sociologically and examined in the field of sociology. This study includes theoretical inquiry on the sociology of morality as well as empirical investigation on moral culture and judgment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fol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lace the advent of “new sociology of morality” in relation to the cultural turn, and to explore the compatibility of Moral Foundations Theory with the sociology of morality. Wit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Korean moral culture and examine it’s effect on various types of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n society: abortion, euthanasia, no-kids zone, and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an. Empirical data of 340 adult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First, Korean moral culture i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including ‘emotional disgust’, ‘fairness’, ‘unity and authority’, and ‘religious approval’. The result shows that Korean moral foundations were heterogeneous to that of the Western society, thus characteristics of morality has cross-societal difference. ‘Emotional disgust’ factor especially reveal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at has connection with rise of hate and phobia in Korea. Also, 4 issues had different meanings to the respondents: (a) abortion was a moral issue that is still controversial, (b) euthanasia was a moral issue that has come to a social agreement, (c)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an was similar to euthanasia but the problem of efficiency and application scope was raised, and (d) no-kids-zone was more complex in that people had disparate positions on pros and cons, justifiability, legalization and whether it is moral issue or not.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ral foundations, values and cultural disposition had different effects on moral judgment, depending on the issues. On moral judgment on abortion, euthanasia, and priority seat for pregnant women, moral foundations had outstanding effect compared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ral judgment on abortion was primarily driven by ‘religious approval’ factor, positions on euthanasia was best predicted by ‘religious approval’ and ‘fairness’, and on priority seat, ‘emotional disgust’ and ‘fairness’ had greater effect. On the other hand, on the moral judgment no-kids-zone moral foundations were not strong predictors. By classifying moral culture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highlights societal cultural differences of morality within and across societies. Also, this study shows different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ral foundations on moral judgment and behaviors of various types of social issues in Korean society.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목표 2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4
 A. 문화적 전환과 도덕사회학의 귀환 4
  1. 고전사회이론에서의 도덕 4
  2. 사회학적 주제로서 도덕의 쇠퇴와 귀환 8
  3. 문화적 전환: 문화 개념의 확장과 도덕의 정의 10
 B. 도덕기반이론의 사회학적 유용성 15
  1. 도덕적 판단의 기제: 추론에서 직관으로 16
  2. 도덕의 다원화 22
 C. 도덕기반이론을 적용한 선행연구 고찰 28
  1. 도덕문화의 유형화: 도덕기반 척도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 29
  2. 도덕기반 유형의 사회인구학적문화적 차이 32
III. 현대 한국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논쟁 36
 A. 낙태를 둘러싼 논쟁과 쟁점 42
 B. 안락사를 둘러싼 논쟁과 쟁점 45
 C. 노키즈존을 둘러싼 논쟁과 쟁점 47
 D. 임산부 배려석을 둘러싼 논쟁과 쟁점 50
IV.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54
 A. 연구문제 54
 B. 연구 내용의 조작화 및 변수 구성 58
  1. 도덕기반 신념 58
  2.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 임산부 배려석에 관한 인식 및 판단 59
 C.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62
 D. 설문 대상자의 특성 65
  1.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65
  2. 종교의 중요성, 정치적 이념성향 및 문화성향 68
V. 연구결과 70
 A. 도덕기반 척도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도덕문화 70
 B. 한국사회에서 네 가지 사회적 논쟁의 의미와 도덕적 성격 77
  1. 논쟁에 대한 지식 및 판단의 우선순위 77
  2. 도덕적인/도덕과 관련된 사안이라는 인식 80
  3. 도덕적 정당성 82
  4. 일반적 찬반 83
  5. 법제화/합법화 필요성 85
  6. 네 가지 사안의 특징과 성격 87
 C. 각 사안을 둘러싼 논쟁의 구성요인 89
  1. 낙태에 관한 논쟁의 쟁점 구성요인 90
  2. 안락사에 관한 논쟁의 쟁점 구성요인 92
  3. 노키즈존에 관한 인식의 구성요인 93
  4. 임산부 배려석에 관한 인식의 구성요인 96
 D.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도덕적 판단의 관계 98
  1. 낙태에 대한 도덕적 판단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관계 98
  2. 안락사에 대한 도덕적 판단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관계 103
  3. 노키즈존에 대한 도덕적 판단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관계 108
  4.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도덕적 판단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관계 113
 E. 네 가지 사안에 관한 도덕적 판단의 결정요인 118
  1. 낙태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회귀모형 118
  2. 안락사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회귀모형 120
  3. 노키즈존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회귀모형 122
  4. 임산부 배려석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회귀모형 124
VI. 결론 126
참고문헌 132
부록1 설문지 149
ABSTRACT 1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886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88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발행년 2011 

  • 조회 수 88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발행년 2013 

  • 조회 수 88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882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87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878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발행년 2019 

  • 조회 수 877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발행년 2000 

  • 조회 수 873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86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9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발행년 2001 

  • 조회 수 857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발행년 1995 

  • 조회 수 857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발행년 2004 

  • 조회 수 85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2

22 동물복지 실험동물과 윤리: 윤리적 동물실험의 기초를 위하여 / 추정완

발행년 2017 

  • 조회 수 84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발행년 2017 

  • 조회 수 847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84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발행년 2013 

  • 조회 수 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