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09489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Legal lia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 standards in data-based medicine

  • 저자[authors] 김기영(Kim, Ki-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1[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의료기기,의료수준,시스템의학,빅데이터,책임,의료정보,정밀의료,Medical device,Standard,system medicine,big data,liability,health data,precision medicine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기반의료에 있어서 의료수준의 규범화에 대한 새로운 법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디지털의료정보의 수집은 한편으로는 기술적인 지원 없이는 더 이상 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 맞춤의학을 원하는 환자에게 개별적인 진료를 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건영역에서 이러한 정보의 가공과 평가는 보건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앞으로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정보의 수집이 의료수준이 될 수 있고 이는 현대의학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의료시스템은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데 환자에게는 민사책임에서 의료수준의 개념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시스템의 시행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법적 요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다음에서는 디지털화에 따른 의료의 기술적인 발전에 대해서 설명하고(II), 데이터기반의료에서 의료수준에 대한 개념을 통해 법적 및 실무적인 문제들을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법적인 측면에서 데이터기반의료에 대한 책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III). 마지막으로 이러한 시스템의학의 가능성과 위험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IV).

The study presents new legal challenges for creating a clear concept of standardization of data-based medicine. On one hand, not only enormous data storage and management solution but also advanced technical support are required to record and store health data in digital form and to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stored medical data may provide critical medical infornation for treating individuals who look forpersonalized medicine for them. It is clear that the way of processing and using medical data would shape the structures of the health care market.    In the future, the collection of data with the smartphone or wearables devices will be very comm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T) advances will create new phenomenon and then will bring great changes in the medical sector. Future changes would presents new challenges to patients as well as healthcare professionals. To prepare changes and challenges of a new personalized health care system, certain legal prerequisites must be fulfilled.    Then the study discusses technical developments in medicine brought by the degitalization (II). The legal and practical problems regarding conceptualization of medical standards in data-based medicine are examined in detail. Next, the legal implications of liability for data-based medicine are explored (III). Lastly, the study assesses a political outlook on the new challenges and the assessment of opportunities and risks in system medicine (IV).]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데이터기반의료의 정보화와 의료의 발전  III.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정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8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3687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3686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33
3685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3684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368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82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2
3681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3680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3679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3678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1
367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31
367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1
3675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0
3674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3673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9
367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8
3671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8
3670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27
366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