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01315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저자[authors] 정윤경
  •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38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선용, 김현주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의학과  2017.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차세대염기서열분석,맞춤의료,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유전상담,설문 조사
  • 소장기관[Holding] 아주대학교 도서관 (241038)

초록[abstracts]
수많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빠른 시간 내에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이 최근에는 연구분야뿐만 아니라 진단 목적의 유전자 검사와 예방 목적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도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유전자 분석 및 해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의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결과를 피검자에게 전달하는 절차와 방법에 있어 유전상담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관련 부처의 보고서 등 관련 문헌 조사와 대한의학유전학회 회원, 의료계 종사자 및 관련 산업종사자 등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다. 설문조사에 응한 사람은 오프라인 95명, 온라인 50명, 총 145명이었다. 유전자 검사 서비스 기관에 대한 국내 현황 조사결과, 2015년 기준 보건복지부에 신고되어 있는 유전자 검사 기관은 총 110개이나 이 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시행하는 기관은 3개 기관 뿐이며, 이는 국내에서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는 아직 도입 초기로 보여진다. 설문조사 결과,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79%로 높았으며, 유전상담에 대한 필요성도 높게(90%) 나타났다.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 대한 유전상담을 진행 할 경우 처음 상담을 진행하는 담당자로는 누가 적합한지에 대한 조사에서 전문 유전상담사 67명(46%), 임상유전학 전문의 외 의사 35명(24%), 임상유전 전문의 28명(19%), 검사 의뢰 의사 14명(10%)으로 나타나, 전문유전상담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당 서비스의 도입 시기에 있어서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3년 내 도입 가능성 있음이28%),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들로부터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이 아직 충분히 인정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이고, 그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인정받고 있지 못한 반면, 해당 서비스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과 그에 따른 유전상담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내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 서비스의 확대로 인한 유전상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에 특화된 유전상담 가이드라인 구축과 전문 유전상담사의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1507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150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연구 / 강승묵 2014  320
1505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1504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0
150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정윤경 2017  320
1501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1500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1499 9 보건의료 특별법상 허위.과장광고 및 표시에 관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검토 -보건의료 및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심영주 2014  321
1498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1
149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1496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 휴머니즘과 인간 양식의 변화에 나타난 윤리적 문제들 - 인공지능시대에 삶의 미정성과 유한성이 주는 가치 / 김광연 2017  321
149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1
149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1493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21
149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149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1490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1489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