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95844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Telemedicine Policy: Focused on United States, Japan, Korea



http://www.riss.kr/link?id=A105295844


  • 저자[authors] 김진숙 ( Jin Suk Kim ), 오수현 ( Su Hyun Oh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원격의료, 정책 비교, 미국, 일본, 한국, Telemedicine, Policy comparison, United States, Japan, Korea


초록[abstracts] 

[2009년 정부가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처음으로 입법예고 한 후 2013년 박근혜 정부시기에 다시 입법예고 하였지만 보건의료계의 격렬한 반대로 법안은 국회에 계류되었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원격의료에 대한 정책 기조가 허용 불가로 변화함에 따라 잠정적으로 법안이 폐기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은 더욱 발달할 것이고,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원격의료의 필요성과 역할은 커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원격의료가 도입되었을 때 성공적으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격의료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규정들에 대한 논의와 준비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비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원격의료가 허용될 경우를 대비하여 한국의 정책 현황을 우리나라에 앞서 원격의료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사례와 체계적으로 비교 ·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미국과 일본은 원격의료에 대한 관련 법, 관할기관, 재정지원(보험, 수가), 제공 기준(대상, 지역, 유형, 제공자 자격 기준과 책임)등에 대해 매우 자세하고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에 비해 한국은 상대적으로 원격의료 관련 규정이 모호하고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의 원격의료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원격의료가 성공적으로 집행되기 위한 선결조건과 환경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구체적인 규정을 담고 있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In 2009,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first legislative amendment of the Medical Law, allowing physician-patient telemedicine, and then the legislation was announced again in the period of Park Geun-hye's government in 2013, but due to the vehement opposition of the health care organization, legislation was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Recently, as the Moon Jae-in government started, the policy for telemedicine has become unacceptable. Howeve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be developed more and the need and role of telemedicine is expected to grow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medical delivery system. Despite the need to discuss and prepare specific standards and regulations for telemedicine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policy goals when telemedicine is introduced, there is a lack of preparation for th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by systema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Korea's policy situation with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are conducting telemedicine ahead of Korea in the future when the telemedicine is allowed. The results show that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very detailed and rigorous about telemedicine related laws, jurisdictional agencies, financial support (insurance and medical fee), provision standards(object, region, type, provider qualification criteria and responsibil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relatively ambiguous regulations about telemedicine. Therefo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remote medical practice in develope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e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in Korea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maintenance that contains specific regulation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10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110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1106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401
1105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1104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 / 이양숙 2003  401
1103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2
1102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402
1101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1100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3
109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3
1098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109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096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4
1095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109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4
1093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1092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5
»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5
109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405
108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 천호정 2018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