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80984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저자[authors] 문미영,이서윤,김미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7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0-18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Accreditation, Job stress, Personnel turnover, Nurses, 인증제,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간호사

초록[abstract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rses’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on thei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consisted of 143 nurses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Seoul and Gyunggido,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in October 2016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in SPSS/WIN 21.0. Results: Awareness of health care accreditation correlated negatively with job stress (r=-.63, p<.001) and turn over intention (r=-.50, p<.001). Awareness of health care accreditation was the factor that most influenced job stress, explaining 38% of the variance (F=23.10, p<.001). Awareness of health care accreditation and duty pattern were the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intention to leave, explaining 32% of the variance (F=10.35,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raising nurses’ awareness of certification systems to reduce thei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the aggressive work nurses do and improve their work structure, highlighting the need for both manpower and institutional support. Accordingly, providing regular education programs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chemes, by raising nurses’ awareness of medical institutions’ certification systems, is necessary.]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의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인식,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의 차이
4.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5.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248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3
4247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2017  742
4246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40
4245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9
4244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4243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9
4242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4241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4240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5
4239 14 재생산 기술 임신ㆍ출산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 / 김채윤 2017  734
4238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4
423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김재영 2000  734
42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33
4235 8 환자 의사 관계 '선한 사마리아인 법'에 따른 민사책임의 감경 - 응금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4  730
423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천현득 2017  729
423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729
423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2005  726
4231 15 유전학 유전체 서열 조합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자료의 k-mer 분석 / 김민선 2015  726
4230 1 윤리학 법적 논의에 있어 인간의 존엄성 개념에 대한 연구 : 초기 배아에 대한 존엄성 논의를 바탕으로 / 차승현 2011  726
4229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