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의생명과학경영융합대학원 :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37592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전략 연구(산업/기술/시장 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Vitalization Strategies of Healthcare 3D Printing Industry in Korea(Based on analysis of Industry/Technology/Market)


  • 저자[authors] 김규영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ii, 122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 지도교수: 배기수
  • 참고문헌 : p.97-99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의생명과학경영융합대학원 :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전공 2017. 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0.74 5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소장기관[Holding] 충북대학교 도서관 (243009)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create new value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medical 3D printing industry that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market, and to find various ways for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the 3D printing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industrial analysis through Porter's diamond model, 5-force model and the industrial ripple effect, and analyzed patent trends of the core technology of the medical 3D printing industry by each detailed technology. In addition, we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with industry participating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edical 3D printing in Korea and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the market.
  In the domestic medical 3D printing industry, related infrastructure such as technology and manpower has not yet been formed, and global companies are dominating most technologies and market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related services and systems to increase utilization.  However, the market for 3D printing is steadily expanding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pplied to medical fields such as precision medical devices, rehabilitation medical care and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weak industrial structure, technology and market share, there needs to be 1) clos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hospitals, industries, and the government, 2) a first-mover strategy for medical software and materials, 3) the development of 3D printers specialized for each medical field 4) phased use of medical 3D printing technology, and 5) the expansion of insurance benefits.
  Currently, the domestic medical 3D printing industry is inferior to the US, the leading country in the field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support policy, etc. Much effort is needed to develop technology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ies, school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government stakeholders.


초록[abstracts]

본 캡스톤 보고서의 목적은 3D프린팅 기술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과 시장이 점차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현 주소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국의 산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모색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과 5-force 모델, 산업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산업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핵심기술에 대한 세부 기술별 특허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 의료 3D프린팅 관련 유관기관 현황 조사와 산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장의 현황과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경우, 기술과 인력 등 관련 인프라가 아직 형성되지 못하였으며 글로벌 기업이 대부분의 기술과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또한, 활용성 증대를 위한 관련 서비스 산업 및 제도가 미흡한 상태이다. 하지만 3D프린팅 산업의 시장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정밀의료기기, 재활의료 및 생체 삽입형 의료기기 등의 의료분야에 그 활용성이 증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약한 산업 구조와 기술 및 시장 점유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1) 대학, 병원, 기업, 정부의 긴밀한 협력과 2) 의료 소프트웨어 및 소재 분야의 First Mover 전략, 3) 진료과별 특화된 3D 프린터 개발, 4) 의료 3D프린팅 기술의 단계적 활용 및 연구지원, 5) 보험급여 확대가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은 기술 개발 및 지원 정책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선도국인 미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산업, 학교, 연구소의 협력을 통한 기술 개발과 정부 이해관계자들의 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의 다각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 론 1
1. 캡스톤 배경 및 동기 1
2. 캡스톤 목표 5
3. 캡스톤 보고서의 구성 8
Ⅱ. 의료 3D프린팅 개요 9
1. 3D프린팅 기술 및 분류 9
2. 의료 3D프린팅 해외 활용 사례 14
3. 의료 3D프린팅 관련 정책 및 법규 현황 25
Ⅲ. 의료 3D프린팅 산업 및 기술 현황 분석 30
1.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 분석 30
2. 국내외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기술 분석 38
Ⅳ. 국내 의료 3D프린팅 시장 현황 분석 59
1. 국내 의료 3D프린팅 유관기관 현황조사 59
2. 국내 제조사 및 서비스기관 대상 심층 인터뷰 70
Ⅴ. 국내 의료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 추진전략 87
1. 산업구조 및 내용 87
2. 세부 기술별 국가 경쟁력 89
3. 추진전략 91
Ⅵ. 결론 94
참고문헌 9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088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병원 외래,입원고객을 중심으로 / 구영애 2011  307
3087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7
308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7
3085 1 윤리학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호모 데우스』의 인간이해에 대한 해석학적 진단- 호모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호모 렐리기오수스” / 왕대일 2018  306
3084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3083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3082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08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3080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307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자기결정권과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치료거부(informed refusal) : 판례 연구 / 배현아 2017  305
3078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5
3077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5
3076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307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서유미, 이경아 2010  305
3074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5
3073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5
3072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3071 5 과학 기술 사회 교육콘텐츠 개발의 저작물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 이영음 2011  304
307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CRISPR) 특허 분쟁으로 살펴본 비자명성과 진보성 그리고 분자생물학의 과학적 진보 / 오창규 2017  304
3069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헌법적 고찰 / 김나루 2017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