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용생체공학과 의용생체공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5365 


3D 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

= Good Manufacturing Practice(GMP) for Producing Customized Medical device Using 3D Printer


  • 저자[authors] 송유빈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16
  • 형태사항[Description] vii,6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 지도교수:차은종
  • 참고문헌 : p.64-67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용생체공학과 의용생체공학전공 2016. 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0.74 5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 3D printing,3D printer,customized medical device,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 소장기관[Holding] 충북대학교 도서관 (243009)

초록
3D Printing is a process that uses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 to materialize 3-dimensional digital design data. The 3D printing technique has been expanded actively in it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in the medical device field with its convenient capabilities of producing personalized devices for patients and minimizing manufacturing process. Although medical devices are regulated to possess a required facility and product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Devices Act, there exists a limitation in regulating all businesses with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due to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medical devices. 3D printing medical devices are currently maintained situationally with the existing system and structure as no detailed GMP guidelines that consider the properties of 3D printing medical devices exist yet.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related reports and references of 3D printing technique's trend, medical device application cases, domestic GMP related laws, and manuals. The research investigated that present policy direc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3D printing medical devices in Korea and several other leading countries to give an overall analysis. With the results as evidence, this research proposes an adjusted edition of GMP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medical devices. Since 3D printing goes through the process of additive manufacturing to produce a complete product, the property of base material affects the completed products greatly. Therefore, compat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base material, and valid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software engineering are essential. Because 3D printed medical devices are personalized for each patient, verification in determination of match with patient structure, compatibility, mechanical performance of half-finished and complete product, and biocompatibility is needed. In addition, as the products are produced in a single lot, each lot needs labeled and trackable document and record management for overall quality management, and needs to be engineered and maintained for performance, safety requirements, risk management, legal requirements, medical expert requirements and patient requirements by a licensed human resource. On this wise, of the detailed requirements in five major GMP sections (Quality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responsibility, Resource, Product realization,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of certain requirements and items in the sections. This research will allow domestic 3D printing medical device businesses to produce and manage quality more efficiently, and assist in distribution of safe and validated medical devices of guaranteed qu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3D 프린터의 개요 및 활용 사례 5
(1) 3D 프린팅의 정의 및 분류 5
(2) 3D 프린팅 과정 10
(3) 의료분야에서의 3D 프린팅 활용 사례 12
1)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 활용 13
① 대동맥 질환 수술 13
② 부비동암 수술 14
2) 맞춤형 의료 보형물 제작 15
① 두개골 성형수술 15
② 기관지 수술 17
③ 맞춤형 인공 코 18
④ 치아 보철물 제작 19
3) 의료 인력 교육 실습 20
① 실습용 모형 20
(4) 3D 프린팅 발전 전망 21
1) 바이오프린팅 22
① 인공 귀 22
② 인공 간 23
2) 4D 프린팅 24
2.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제도 26
(1) 의료기기 GMP의 도입 배경 26
(2) 의료기기 GMP의 개념 27
(3) 의료기기 GMP 기준 세부사항 28
3. 국내외 3D 프린팅 관련 동향 29
(1) 국내외 3D 프린팅 기술 정책 동향 29
1) 국외 3D 프린팅 기술 정책 동향 29
① 미국 30
② 유럽 30
③ 중국 31
④ 일본 32
2) 국내 3D 프린팅 기술 정책 동향 32
(2) 국내외 3D 프린팅 의료기기 관리 현황 33
1) 국외 3D 프린팅 의료기기 관리 현황 33
① 미국 33
② 유럽 37
2) 국내 3D 프린팅 의료기기 관리 현황 39
Ⅲ.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 42
1.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 관리 시 고려항목 42
2. 3D 프린팅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방법 45
(1) 품질경영시스템 45
1) 문서화 일반 요구사항 45
2) 문서관리 46
3) 기록관리 47
(2) 경영책임 48
1) 책임과 권한 48
2) 내부 의사소통 49
3) 경영검토 49
(3) 자원관리 50
1) 자원의 확보 50
2) 인적자원 51
3) 기반시설 51
(4) 제품실현 52
1) 고객 관련 프로세스 52
2) 설계 및 개발 53
3) 구매 55
4) 생산 및 서비스 제공 56
① 생산 및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의 유효성 확인(validation) 56
② 식별 및 추적성 59
③ 고객자산 59
(5) 측정, 분석 및 개선 59
1) 피드백(feedback) 59
2) 제품의 모니터링 및 측정 60
3) 데이터의 분석 61
4) 개선 61
Ⅳ. 고찰 및 결론 62
참고문헌 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848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마우스 체외수정 조건 확립에 관한 연구 / 이단비 2016  97
3847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의 프라이버시 문제와 그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 허유선, 정창록 2017  97
3846 9 보건의료 외국의 외래처방 제네릭 의약품의 입찰제 운영 현황과 시사점 / 김성옥 2015  97
3845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3844 18 인체실험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전주경 2018  97
3843 5 과학 기술 사회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 윤자영 2018  97
3842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운행 중의 사고발생과 손해배상책임 / 최현태 2018  97
3841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현아 외 2017  97
3840 1 윤리학 생명과학분야 기초교양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안/주양선 외 2017  97
3839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383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383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
3836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7
3835 1 윤리학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 장석권 2018  97
3834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7
3833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3832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김형준 2019  97
3831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3830 18 인체실험 Costs and Benefit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2010  98
3829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