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305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 Die Bewältigung der wissenschaftlichen und technischen Entwicklungen durch das Verwaltungsrecht


  • 저자[authors] Dietrich Murswiek,박용숙(번역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江原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2018]

  • 발행처[publisher]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41-67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과학기술의 발전,행정법적 대응,유전자공학,기술진흥,기술제한,wissenschaftlichen und technischen Entwicklungen,Verwaltungsrecht,Gentechnikgesetz,Technikforderungsrecht,Technikbegrenzungsrecht



초록[abstracts]

[현대의 과학기술과 관련한 법에는 크게 기술 진흥(Technikförderungsrecht) 및 기술 제한(Technikbegrenzungsrecht)이라는 2가지 특징이 있다. 즉 과학기술 발전의 위험으로부터 과학기술의 보호 및 기업의 투자 안전과 새로운 기술의 집행에도 기여한다.    기술이 인간의 삶의 조건을 변화시키면 시킬수록, 행정법에 의한 손해예방(Schadensvorsorge)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한다. 동시에 과학기술에 관한 지식이나 능력의 급속한 증대는, 우리의 무지 영역, 정확하게는 법적으로 의미를 갖는 무지의 영역을 넓혀준다. 왜냐하면, 우리들이 기술적 수단을 통해 세계를 보다 강력하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할수록, 일부분밖에 알지 못하는 기술적 발전을 제재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만 하는 기술의 부수적 그리고 사후적 영향은 한층 크고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행정법의 예방적 기능이 특히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전자공학을 소재로 하여, 우리가 고려해야 할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전자공학은 한편으로는 생명의 생물학적 기본구조에 대한 개입을 통해 세계의 기술적 재창조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들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가 거의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위험을 초래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위험(Risiko) 평가의 근거가 불확실한 경우에 있어서의 손해예방이라고 하는 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로써,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의 한계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목차[Table of content]

논문 번역을 시작하며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위험 평가의 근거가 불확실한 경우의 손해예방  Ⅲ. 프로젝트를 횡단하는 기술적 영향의 관리  Ⅳ. 사회적 영향 및 간접적인 기술적 영향  Ⅴ. 결론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08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
3907 9 보건의료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 신진영 외 2018  94
»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대한 행정법적 대응 /박용숙 번역 2018  94
3905 20 죽음과 죽어감 Sun-390 : 암환자에서 사전연명의료계획서의 작성과 호스피스 이용 / 김진항 외 2018  94
3904 9 보건의료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조두현 2019  94
390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3902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와 사전의료지시서 / 이재경 2008  95
3901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공공성 향상 방안 : 비교제도론을 통한 지역 연구윤리위원회 도입 검토를 중심으로 / 이경훈 2016  95
3900 9 보건의료 의료전문직의 이윤추구 동기가 의료재정정책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경 2010  95
389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일자리, 과학기술 / 정명애 2016  95
389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3897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관리 통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동희 2017  95
389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적 허용여부 논의를 위한 한국적 논의 모형 제안 2000  95
3895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빅 데이터를 활용한 종합병원에서의 포괄수가제 적용 전·후 재원일수와 진료비의 변화 / 정수진, 최성우 2017  95
3894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장연화 2017  95
38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3892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3891 9 보건의료 사례 중심의 의료기기 임상시험 교재 개발 / 박남미 2018  95
389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의 특허침해에 따른 책임 / 김용주 2018  95
3889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