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80069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Proof of Negligence in Medical Malpractice Claims : Focused on The Common Knowledge Approach in Korea and U.S.A.
http://www.riss.kr/link?id=A102680069
  • 저자[authors] 신은주(Shin, Eun-J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2[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4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의료소송,의료과실,입증책임,일반상식이론,일반인의 상식,medical claim,medical malpractice,proof of negligence,common knowledge,general common sense


초록[abstracts] 
[1995년 2월에 대법원에서는 의료과오사건에 있어서 일반인의 상식에 바탕을 둔 의료상의 과실있는 행위를 피해자측이 입증하면 과실을 추정하는 최초의 판결이 있었다. 이 판결은 우리나라의 의료과오사건에 있어서 환자의 과실에 대한 입증곤란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일반인의 상식을 도입한 매우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대법원은 이러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배경으로서 손해의 공평하고 타당한 분담이라는 손해배상제도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미국에 있어서도 의료과오소송에서 일반인의 상식이 판결을 통하여 환자와 의사간의 공평성을 위하여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의료과오사건에 있어서 일반인의 상식에 대한 개념과 적용에 대해서 아직 모호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일반상식의 이론을 우리나라보다 먼저 도입하고 있는 미국도 일반상식의 개념과 적용범위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판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 있어서 일반상식의 원칙의 개념과 적용사례에 대하여 검토하고 일반상식이론이 증거법에서 차지하고 있는 의미를 고찰한 후에 우리나라의 의료과오판결에서 나타난 일반인의 상식 및 그에 근거한 과실입증에 관하여 검토한다.,

There was a epoch-making case in the area of medical malpractice claims in February 1995. The supreme court in Korea held that a health care provider’s negligence can be assumed in case of patients to prove a health care provider’s wrongdoing based on the common knowledge. After that, many cases followed the same way as the case for medical negligence malpractice claim. Now the case of Feb. 1995 becomes a leading case in medical malpractice claims. The purpose is to ensure fairness between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The question of whether to apply the common knowledge for proving negligence has been decided on an case-by-case basis. Therefore, whether to apply the common knowledge depends on the eyes of the judges, not a law. The reality remains that the decision whether the common knowledge approach applies will often determine the outcome of a negligence claim against a health care provider. An argument can be made that there is room for some continuing application of the common knowledge for the fairness between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ut that leaves the question of where the balance should be struck because the concept is a lack of clarity. Thus, the task is compounded by the fact that the common knowledge approach has been a function of a case-by-case approach.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that provide some intelligible demarcations and predictable standards whi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some needed flexibility for deciding these necessarily fact-laden questions. I believe that the common knowledge approach should be retained. To do so, the cases for common knowledge approach will be accumulated in order to define some guidelines for its scop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언  Ⅱ. 미국에 있어서 일반상식의 원칙(Common Knowledge Doctrine)  III. 우리나라에 있어서 일반인의 상식에 바탕을 둔 과실의 입증  IV. 결어  참고문헌  abstrac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364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4
364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4
3646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4
364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3
3644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3
3643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3
3642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2
3641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22
364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2014  422
363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2
3638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2
3637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2016  421
3636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21
3635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1
363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21
3633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1
3632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20
3631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20
363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20
362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