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6678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the mediating effect of financial coping


http://www.riss.kr/link?id=A105456678

  • 저자[authors] 우경숙 ( Woo Kyung-sook ), 박찬미 ( Park Chan-mi ), 신영전 ( Shin Young-je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재난적 의료비, 재정적 대응, 가구의 빈곤화, 매개 효과,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financial coping, poverty, mediating effect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7~8차 조사에 참여한 가구 중에서 7차 연도에 빈곤하지 않은 3,321가구를 대상으로 재난적 의료비 지출, 재정적 대응의 변화, 빈곤화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모형을 적용한 로짓 회귀분석과 매개 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적 의료비 발생 가구는 미발생가구에 비해 빈곤화될 위험이 높았고, 사적이전 소득과 민간보험 수령액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재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가구의 재정적 중에서 사적이전 소득·저축액·비-의료서비스 소비지출의 증가는 가구 빈곤화와 음(-)의 관련성이 있었고, 이 과정에서는 사적 이전 소득만이 매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사적이전 소득과 같은 비공식적 대응만으로는 의료비로 인한 가구의 빈곤을 완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료비로부터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 보장성 확대와 본인부담금 경감제도와 같은 공적 지원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in South Korea,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financial coping in the causal process. This study involved 3,321 households who participated in the 7th-8th KWPS and were surveyedas non-poor households in the 7th. To examin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these households, changes in financial coping, and the association with transition to poverty, a three-step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facing poverty than the households withou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the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ivat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insurance benefits whereas the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ssets. Between households’ financial coping and transition to poverty, increased private transfer income, increased savings, and increased non-healthcare service spend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In addition, only private transfer incom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ffecting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6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682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강정미, 권정옥 2018  184
6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판례의 고찰 /신은주 2012  55
68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8
67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2017  48
678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1
677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 국가자살예방전략에 따른 뉴욕주 자살예방정책 / 손해인 2018  145
676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6
675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8
674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2
»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우경숙 외 2018  68
672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7
671 9 보건의료 스마트건강증진서비스 효과성 분석 연구 : 서울시 사례 /오수경, 신창환 2018  103
670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669 9 보건의료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김도영 2018  56
668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5
667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666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4
665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664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현소혜 2018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