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보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8227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 Suicide and Its Prevention Policy in Nepal: A Review

http://www.riss.kr/link?id=A105558227
  • 저자[authors] ( Bimala Sharma ), 김하윤 ( Ha Yun Kim ), 김진리 ( Jin Ri Kim ), 남은우 ( Eun Woo Na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보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4No.3[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보건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9-4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자살, 자살 시도, 예방 정책, 네팔, Suicide, Suicide Attempts, Prevention Policy, Nepal



초록[abstracts] 
[연구목적 : 네팔과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도 자살문제는 상당한 국가적 재난과제이다. 이 연구는 네팔의 자살 시도 현황과 자살 방법 및 이유 등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및 자살 예방 정책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게재된 논문 및 보고서를 내용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네팔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8.6~24.9명으로 세계 표준화 자살률인 10만 명당 11.4명보다 두 배 이상 높다. 그러나 네팔은 자살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국가 데이터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다. 자살 시도 및 자살 사례가 과소보고 되는 주요 이유는 자살 사례의 오분류, 법적 및 보건부문 간의 협력 부족, 낙인, 인식 부족, 법적 조항 및 미흡한 사망 등록 시스템 등 때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자살 사례에 대한 부검 보고서 또는 고의적인 자해에 대한 기관 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을 매달거나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망은 자살의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살충제 약물 중독이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청소년, 특히 20세에서 35세 사이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사례가 더 빈번하게 보고되었다. 정신 건강 정책은 전 국민을 위한 기본적인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보장, 정신 건강에 대한 필요한 인력 개발, 정신 건강 인식 제고를 위해 1997년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그 시행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정신건강법은 2006년에 기안 되었으나 아직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결론 : 네팔에서의 자살 사망 및 자살 시도 등의 문제는 많았지만 이에 비해 자살 예방에 대한 관심과 우선순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팔은 정신건강 정책과 정신건강 서비스의 일부 조항은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자살 예방 대책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Objective : Suicide is a disaster of unknown magnitude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Nepal. This review aimed to explore suicide a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in Nepal. Methods : Published articles and other reports were review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 The estimated suicide rate in Nepal is between 8.6 to 24.9 per 100,000 populations, which is more than double that of the global age-standardized suicide rate of 11.4 per 100,000. However, there is a severe shortage of reliable, representative, and nationwide data about the burden of suicide in Nepal. The major reasons for the underreporting of suicidal attempt and cases include the misclassification of cases,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the legal and health sectors, stigma, a lack of awareness, legal provisions, and poor death registration systems. Most of the studies were institution-based using either autopsy reports of suicide cases or cases of deliberate self-harm. Hanging and poisoning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suicides; and organophosphorus poisoning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poisoning. Suicide and suicide attempts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in women and young people, especially among those between 20 and 35 years of age. A mental health policy was adopted in 1997 with the objective to ensure accessibility of basic mental health services for all; to develop required manpower; and to improve awareness about mental health. However, its implementation has not been effective. The Mental Health Act was drafted in 2006, but its endorsement by the government is also pending. Conclusions : The suicide burden in Nepal seems alarming but receives far less attention and priority. Although there is a mental health policy and some provis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no specific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re develop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268 9 보건의료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 이용표 2017  126
3267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3266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2007  126
3265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3264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3263 9 보건의료 임상시험 결과의(Clinical Trials Outcome)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강화전략(Enrichment Strategy) 탐색 : 일개 병원 EMR 자료를 이용하여 / 이지선 2018  126
3262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6
3261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3260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6
3259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7
3258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현정, 홍훈기 2010  127
3257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3256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255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3254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2017  127
»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3252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7
3251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7
3250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7
3249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