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톨릭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715297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인간의 인격개념 사용 문제 :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 For the Use of Person(persona) Concept of Human Beings toward Artificially Intelligent Robot(Humanoid Robot): Focused on the Theological Anthropology’s Understanding for the Concept of Person(personality)


  • 저자[authors] 김태오(Tae-Oh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가톨릭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5-12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30
  • 주제어[descriptor] 인격,인격개념,인격체,인공지능,인공지능 로봇(휴머노이드 로봇),Persona,Concept of Personality,Substance of a Person,Artificial Intelligence,AI Robot(Humanoid Robot)

초록[abstracts] 

[2016년 다보스(세계경제 포럼) 리포트에 의하면, 세계는 2010년으로 들어서면서 3차 산업혁명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넘어가고 있다. 1990년대 중반 들어 정보통신과 신재생 에너지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3차 산업혁명이 시작됐는데, 벌써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등 최첨단 기술의 융합시 대라 일컫는 4차 산업혁명이 소개되고 있다. 우리는 이미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의 파괴력을 이세돌과 알파고(AlphaGo)의 바둑대결에 서 보았다. 이 대결은 앞으로 갈수록 강화되는 인공지능이 인간에게 다가 올 모습 그리고 인간이 미래의 인공지능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를 성찰 하게 하였다. 지난 7월 우리나라 한 여성 국회의원이 동료의원 37명과 함께 로봇에 대해 특정 권리는 물론 의무를 가진 전자적 인격체로서의 지위를 부여토록 하여 윤리규범을 준수하도록 하는 ‘로봇기본법’ 제정안을 공동발의했다. 필자는 이 법안에 대한 찬ㆍ반의 접근이 아니라, 로봇에 대한 인격 및 인격체에 대한 용어 사용 및 지위 부여에 있어 크게 염려하였다. 그래서 권리와 의무의 주체의 자격을 가지는 법률적 관점에서의 인격을 넘어 인간의 본질로서의 인격개념을 신학적 인간학 관점에서 재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로봇이 인격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본 논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인격개념의 개념정리로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인격개념을 신학적 인간학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결과로써, 인격개념을 세 가지 차원, “개별체로서의 인격”, “가치의 의미로 서의 인격”, “관계로서의 인격”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둘째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부적절한 인격 사용 및 인격일 수 없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앞서 정리한 세 가지 차원의 인격개념을 바탕으로 인공로봇이 인격일 수 없음을 세 가지 명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인공지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에 한정하여 인격문제를 거론했다. 인간 유기체에 기계가 결합되는 사이보그나 사이버 자아는 현재 그 정의가 다양해 다루지 않았다. 하지만 인격의 본질이 정신과 육체가 실체적 결합을 이루는 인격적 몸에 한정된다는 분명한 입장은 어떠한 개체 및 존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 According to 2016 DAVOS(WEF) REPORT,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2010 has been initiated in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iddle of 1990,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had begun with a developmental activation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howev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as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AI) or Convergence age of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has already been introduced. From the last Baduk(Go) competition of Lee Sedol vs. AlphaGo, we have already experienced a destructive power of the AI, which is the key technology of the 4 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experience has enhanced us to reflect on more and more advanced AI which will come closely to human persons and how humans encounter of the future AI. The last July a Congresswoman in Korea co-signed by thirty six other fellow members proposed an amendment of the Robot Basic legislation, which includes granting a particular right to the Robot and also the state of electronic personality observing moral norms. For this matter I had a big concern not by ‘for and against’ approach, but by the use of personality concept and granting personality status toward the AI Robot. Therefore, I tried to rearrange the personality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demonstrate of the fact that the AI robot must not be a human person and personality. This thesis is summarize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is a summary presentation of the personality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in the context of times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As a result, I presented three dimensional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concept, which are “personality as the individual substance”, “personality as the means of human values”, and “personality as the relation.” Then, the second part is a presentation of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AI and a demonstration of the fact that the AI must not be a person and personality. Based on three dimensional understanding of personality concept there are three statements for relation of personality concept and the AI robot presented. The work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humanoid robot in the context of the AI. It does not deal with the cyborg and the cyborg self due to various definitions of cyborg world in the present. However, It is a clear statement that the essential nature of personality is only the substantial relation of mind and body, and such a position must be kept in dealing with any individuals and existences.]


목차[Table of content] 들어가는 말  I.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  1.1. “개별체로서의 인격”  1.2. “가치의 의미로서의 인격”  1.3. “관계로서의 인격”  II. 인공지능 로봇의 인격개념 적용 문제  2.1. 인공지능의 역사  2.2. 인공지능 로봇의 현재와 미래  2.3. 로봇의 인격개념 적용 불가능성 논증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0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지시에 의한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강명구 2012  335
1407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1406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1405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교육으로서의 로봇윤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 변순용, 송선영 2014  336
1404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6
140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6
140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지식재산권법학의 미래 / 정진근 2016  336
»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인간의 인격개념 사용 문제 : 신학적 인간학의 인격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김태오 2017  336
14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전문직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 김명희 1985  337
1399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
1398 9 보건의료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타당성 고찰 : 합헌성에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이산해 2014  337
1397 1 윤리학 생명존중문화를 고양시키기 위한 기독교 책임윤리 : 한스 요나스와 윌리엄 슈바이커를 중심으로 / 홍동엽 2016  337
1396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경험 정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관계 / 문미영 2015  337
1395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139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7
1393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 이미준, 강희경 2019  337
139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임무와 운영 / 김용진 2013  338
1391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1390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1389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