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신경과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12615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Ethical issues of Brain engineering

  • 저자[authors] 김진국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07쪽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영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신경과학전공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뇌공학,의료윤리
  • 소장기관[Holding] 영남대학교 도서관 (247017)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108163
초록[abstracts] 
국문요약
 한 국가의 의료체계는 의료윤리에 입각한 공공성과 사회정의가 확보될 수 있도록 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의료체계는 공공성이 대단히 취약하고, 그것은 각종 보건지표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생명공학과 뇌공학 같은 첨단의학기술을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산업은 의료양극화를 부추기고 의료의 공공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자율성을 위협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핵심사업은 경제성과 실용성 측면만 강조되고 있다. 첨단기술은 실지 활용이 되었을 때 그 결과는 순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통제불능의 역기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뇌공학은 기계와 인간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휴머니즘이라고 하는 의료의 본질마저 훼손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윤리적 측면의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뇌공학과 같은 첨단의학기술이 의료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준은 반드시 인간이어야 하고, 사회변화에 의해서 소외되고 배제된 사회적 약자들이어야 한다. 그 이유는 의료의 본질이 휴머니즘이기 때문이다.
  기계와 기술이 인간과 경쟁하게 된 이 시대에 첨단의학기술에 대한 비판과 성찰은 인간을 위한 의료의 정체성과 의사의 직업 정체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이 논문은 철학을 포함한 간학문 연구(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려 한다.  이것은 의학기술이 생명을 제작하고 생산하는 기술이 아니라 인간성과 휴머니즘을 위한 예술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전문직업으로써 의사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의료의 본질과  정의로운 의료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의사들이 감당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48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1347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346 2 생명윤리 예비 생물교사들의 생명윤리 논쟁거리에 대한 논증 활동의 효과 / 김선영 2015  346
134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344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6
1343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1342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6
1341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
1340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7
1339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338 5 과학 기술 사회 연구자주도임상 관련 재정적 지원의 법률적 문제점에 대한 검토 / 강한철 2012  347
1337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336 18 인체실험 구강편평상피 암세포와 이종종양 모델에서의 화학요법과 배아줄기세포 유래 조혈모세포, 혈관내피세포의 단백체 분석 및 기능 연구 / 이라함 2016  348
» 17 신경과학 뇌공학의 윤리적 쟁점에 대한 고찰/김진국 2018  348
1334 2 생명윤리 도덕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활과 윤리』를 중심으로 / 이필연 2013  349
133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9
1332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49
133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49
1330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50
132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