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지식재산연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193569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trategy and Measures in the AI Era

  • 저자[authors] 김승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지식재산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5-1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초록[abstracts] 
[In the 21st century, it is time to see the com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fusion of technology that disrupts the boundaries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ICT, physics, and biology. The characteristic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is already in progress is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bio, and offlin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t the center.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developing more rapidly in recent decades, and thousan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are already digging deep into the infrastructure of every industry.  Intellectual property systems, on the other hand, are dual-faceted systems that can harm monopoly rights while harming fairness. There is a fair trade system that is in conflict with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plays an optimal balance by correcting the rules of innovation and competition in a balanced way. The Fair Trade Act is an institutional device designed to ensure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that is the basis of the efficiency and democracy of capitalist society. Fairness is another value that must be ensured in that it can not ignore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while protecting the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innovation in establishing an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21세기 현재 디지털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 물리학, 생물학 등 각 학문의경계를 허무는 기술의 융합에 의한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눈앞에 두고 있는시점이다. 이미 진행과정에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디지털, 바이오, 오프라인 등의 기술을 융합하는 것이고,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이 자리 잡고 있다. 최근 10년 사이 인공지능은 더욱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미 수천 종의 인공지능 응용프로그램들이 모든 산업의 기반 구조 깊숙이 파고들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창시자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의 AI시대에는 지식재산제도가 바로 국가의 핵심역량이자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세계의 각 국가들은 앞을 다투어 4차 산업혁명과 지식재산권 보호전략을 세워 미래의 국가 성장동력을 마련하기에이르렀다.  이와 같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제4차 산업혁명은 우리 곁에 다가와있고, 그 사회의 특징은 ‘지능정보사회’가 될 것이다. 지능정보사회의 특징은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에 의한 초연결사회이며, 이러한 사회를 나타내는 시대명칭을 ‘AI시대’라고 이름 붙이면서, 이하에서는 AI시대에 있어서지식재산권이 국가역량 확장의 신동력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에 관한 국가전략과 입법정책에 대하여 법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시론을 펼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84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847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 지식재산 정책의 변화 / 손수정 2016  98
846 9 보건의료 병원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 / 이용균 2011  98
84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 정책 발전의 의의와 향후 과제"에서의 전문용어 사용에 대한 의견 / 손영수 2010  98
844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843 18 인체실험 Previously unidentified duplicate registrations of clinical trials: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gistry data worldwide/Gert van Valkenhoef 2016  98
842 2 생명윤리 죽음 규정에 관한 논란과 그 인간학적 함의 = The Dispute on Defining Death and Its Anthropological Meaning/허민 2016  98
841 19 장기 조직 이식 Challenging the Sanctity of Donorism: Patient Tissue Providers as Payment-Worthy Contributors 2015  98
840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
839 18 인체실험 Costs and Benefits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2010  98
838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837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김형준 2019  97
836 8 환자 의사 관계 분만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사업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46조에 관하여 / 백경희, 안법영 2011  97
835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7
834 1 윤리학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제도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 장석권 2018  97
»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지식재산권 보호전략과 대책 / 김승래 2017  97
83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가치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김미숙 외 2018  97
831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의 특허 가능성 / 박인회 2018  97
830 14 재생산 기술 조선후기 남성지식인의 유모 기록에 나타난 대리모성에 대한 인식 / 서경희 2017  97
829 1 윤리학 생명과학분야 기초교양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방안/주양선 외 2017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