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45350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따른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윤리강령 적용정도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 

= The Differences of Nurses’ Perception of the Code of Ethics, Degree of Application of Nursing Ethics and Biomedical Ethic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Ethical Values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저자[authors] 정계선(Jeong, Gye-S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간호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00-31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강령,윤리,간호사,간호학생,교육,Practice,Ethics,Nurses,Nursing students,Education

초록[abstract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Code of Ethics, level of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es ab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ethical values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1st June to 31st August 2016 from two large cities. The participants were 246 nursing students with a mean age of 22.57 years. Among them, 209 (84.6%) were female, 94 (38.2%) ha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155 (63.0%) listed their ethical value 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127 (51.6%) ha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experience. Results: The scores were: awareness of the Code of Ethics of Nurses 4.29±0.60;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of Nurses 4.24±0.64;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2.91±0.1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of Nurses (t=-1.97, p=.050);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t=-2.25, p=.025)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elated to biomedical education experience (t=2.67, p=.007). Conclusion: Clinical practice and biomedical ethics education experience contributed to enhance the level of application of the Code of Ethics of Nurses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008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6
4007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56
400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4005 2 생명윤리 자유주의 우생학에 관한 생태신학적 비판 및 재구성 / 김광연 2018  555
400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 이민혜 2014  554
400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52
4002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51
4001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연명치료 요구 비교 / 박상은 2014  551
4000 8 환자 의사 관계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김영경, 정인숙 2015  550
3999 15 유전학 우리나라 ABS(나고야의정서) 대응정책의 평가와 과제/홍형득, 임홍탁, 조은설 2013  550
399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9
3997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8
3996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8
39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8
3994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8
3993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992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8
3991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399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7
398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