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484006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 Recent neuroethics activities in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and global coordination - current status and its implication -

  • 저자[authors] 최은경(CHOI Eun Kyung),박혜윤(PARK Hye Yo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신경윤리,뇌신경과학,책임 있는 연구 혁신,연구 거버넌스,법·윤리 사회적 고려,대규모 과학기술,neuroethics,neuroscience,responsible research &amp, innovation,research governance,ELSI,big-scale technology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각국의 대규모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에서 신경윤리적 관점을 포함하여 설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BRAIN Initiative, 유럽 연합의 Human Brain Project,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 중국, 한국의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의 신경윤리 활동을 비교 검토하고, 신경윤리 교류의 국제적 사례로 OECD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현재 각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연구의 윤리적 함의와 기술영향력의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사전에 연구의 예측되는 결과의 윤리적 함의를 소통하고 그 결론을 지속적으로 책임 있게 반영하는 "책임 있는 연구 혁신(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등의 방법을 고려한다. 각국이 뇌신경과학 연구 설계 때부터 신경윤리를 고려하고 뇌신경과학 진전을 위한 국제 교류에 있어서도 윤리적 숙고를 강화하는 점 모두 현재 뇌신경과학 윤리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신 동향의 검토를 통해 뇌신경과학 연구와 같은 새로운 대규모 신기술 프로젝트 기획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신경윤리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지 논의하였다. 우선 각국의 뇌신경과학 윤리 동향으로부터 1) 뇌신경과학 연구과제 설계 초기부터 윤리 관련 요소를 파악, 설계하고 연구과제에 함께 통합시키고 상호 반응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2) 가능하다면 연구과제 거버넌스 차원에서 신경윤리 관련 내용이 책임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 3) 뇌신경과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신경윤리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다른 아시아 지역보다 선도적으로 윤리를 다루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뇌신경과학의 시도는 첨단 과학 연구에 대한 전 지구적 대응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참고할 만 하며, 긴밀한 국내외의 공조와 세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is paper scrutiniz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neuroethics in the recent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in each country. We compared the neuroethics activities in US BRAIN Initiative, EU Human Brain Project, and Japan, China, Korea"s brain projects as well. Meanwhile, we introduced neuroethics activity in OECD and initiation of global brain initiative as recent global coordination of neuroethics. In almost every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the ethical implication and uncertainty of consequence were scrutinized in both. Ethicists and scientists in each project utilize new methodology such as "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to communicate the ethical implication of foreseeable result in advance, and to reflect the conclusion consistently. Moreover, they deliberate ethical element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neuroscience project and intensifying ethical deliberation in the global coordination of neuroscience. These features would b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recent neuroethics activity.    Through the review of recent trends,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points in the planning of big-scale research project of emerging technology such as neurotechnology. Additionally, we discussed how neuroethics activity could be pursued in Korean brain project. At first, we outlined three points, for instance, 1) 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ethical element in the designation of brain project 2) responsible pursuit of neuroethics activity regarding governance of project 3) building up the groundwork for neuroethics with coordination of diverse disciplines. Furthermore, we pointed out that Korean brain project dealt neuroethics in leading position in Asia, however, a detailed procedure is still lacking. Neuroethics activities in neuroscience can be regarded as the desirable response toward emerging technology, which need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areful discussio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1. 서론  2. 미국: BRAIN Initiative  3. EU: Human Brain Project  4. 일본, 중국 및 한국의 신경윤리 활동  5. 국제 교류 흐름: 글로벌 브레인 이니셔티브 개시와 OECD의 policypaper 제출  6.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88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4
58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58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585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범경철 2014  596
584 18 인체실험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 이충환 2013  596
583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복지축산의 현황과 법적 과제 /박종원 2017  598
582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581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580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9
57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600
57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577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경험을 통해서 본 생식기술 / 김경례 2010  601
576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601
575 7 의료사회학 디지털 헬스케어 주요 기술 개발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유선길 2018  604
57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57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 이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변화 필요성 / 김윤 2015  605
572 1 윤리학 덕의 함양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현대 윤리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맥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남경부 2008  606
571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570 14 재생산 기술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 천현순 2014  606
56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