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547978 
아동 주치의등록제에 대한 정의론적 접근

= Registered Doctor System for Children Korea: An Approach from Theories of Justice

  • 저자[authors] 김준혁(Junhewk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7-1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아동 주치의등록제,정의론,공리주의,약자우선주의,운 평등주의,Registered Doctor System for Children,Theory of Justice,Utilitarianism,Prioritarianism,Luck Egalitarianism

초록[abstracts] 
[서울시를 시작으로 몇몇 지역자치단체는 아동 주치의등록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안으로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아동 · 청소년 치과주치의 제도와 우리아이 건강관리의사 제도가 있다. 두 사업은 일차의료 확대, 의료비용 조절, 건강불평등 완화 등을 목표로 하여 시행되었으며 초기 시범 사업 이후 점차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치과주치의 제도의 경우 저소득층 아동에 심화처치를 제공하여 대상 집단의 우식 예방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이 사업에 대해 서울시 치과의사회와 소아청소년과 개원의사회 서울지회는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으며 그 이유로 사업 과정에 관한 협의 부족, 재정 불충분, 제공의료 서비스의 질 하락, 과도한 행정 부담 등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선 아동 주치의등록제가 내세운 목표가 현재 구현된 제도와 일치하지 않으며 반대 의견 또한 부분적으로 타당하여 현재 제도가 지속성과 정당성을 담보할 수 없음을 살피고, 대신 공정성에 기반을 두어 아동 주치의등록제의 타당성을 확보하려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정의의 세 입장, 공리주의, 약자우선주의, 운 평등주의를 개괄하고 각 입장에 비추어 아동 주치의등록제를 살핀 뒤, 공정한 아동 주치의등록제 시행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Several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introduce a registered doctor system for children, which have been started from Seoul. Two proposals, the Registered Dentist System for Children and Adolescent and the Health Management Doctor System for Children, are implemented by the Seoul government. The primary objectives of these services are an expansion of primary health care, control of health care cost, and mitigation of health inequality. The services have been expanded after the pilot projects had completed. The Seoul Dental Associ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Practitioners oppose these services because of lack of consultation with the professional community, financial limitation, degradation of health service quality,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burdens. This paper reviews the implemented policies and argue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objectives of the registered doctor system and the aims of the implemented policies. In effect, the current services could not guarantee sustainability and legitimacy of the policy.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gistered doctor system for children based on the justice. For this purpose, three main positions of the health justice are introduc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just registered doctor system for children are mad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68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 노상헌 2017  185
2567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5
2566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이현옥 2018  185
2565 1 윤리학 의료법 분야에서 최근 판례의 동향과 전망 / 김기영 2017  185
2564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의 시사고발 재현, 정치 및 사회문화적 맥락의미 / 강혜수 2018  185
2563 5 과학 기술 사회 왓슨을 중심으로 본 의료 인공지능의 유용성 및 검증의 필요성 / 최상태 2018  185
2562 16 환경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과 친사회적 행동 및 환경친화적 태도와의 관계/정미라 2015  186
256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 대한 노인 환자와 보호자 간 인식 및 태도 비교 / 황혜영 2016  186
2560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2559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서 빅데이터의 활용과 관련된 법적 고찰 - 한국 및 중국을 중심으로 - / 이규호 외 2017  186
255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법제 개선방안 / 박대웅 외 2016  186
2557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6
2556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윤리 규범의 관점에서 / 김준성 2017  186
2555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6
2554 22 동물복지 우리나라 동물실험절차에 대한 법제의 검토- 미국과의 비교를 통한 기준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 / 백경희, 강병우 2018  186
2553 1 윤리학 Authority of law at the foundations of a legal system = 법체계와 법의 권위 / 박준석 2007  187
255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7
2551 2 생명윤리 착상 전 유전자 진단 및 산전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The Bioethical Consideration on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and Prenatal Diagnosis/조혜영 2016  187
2550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7
2549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