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개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750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 저자[authors] 김병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책개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2[2013]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책개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1-141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50
  • 주제어[descriptor] 연구회,국책연구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연구윤리,평가,표절,Research Council,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Research Ethics,Evaluation,Plagiarism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를 둘러싼 주요 쟁점들에 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책연구기관 연구보고서에 요구되는 연구윤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위조, 변조, 표절, 중복게재, 부당한 저자 표시 등의 연구부정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며, 현재 표절과 중복게재가 가장 심각한 문제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윤리평가를 이용하는 것은 긍·부정적 양면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현재와 같은 사전적 연구윤리평가방식은 여러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는 등 부정적 측면이 강하므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현행 연구윤리평가를 지속하더라도 평가의 근거를 비롯하여 목적, 기준, 방법, 결과활용 등에 관해 개선할 점이 많다. 평가의 전 과정에서 국책연구기관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평가 근거 및 목적의 명확화, 평가기준 보완 및 구체화, 표절검색시스템 구축 등 평가방법 개선, 그리고 평가결과 활용 범위 재조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exploring controversial issues regarding currently running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for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primary research ethics required in reports of the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must be not performing fabrication, falsification,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inappropriate authorship. And it has been proved plagiarism and redundant publication are highly problematic. Second, utilizing evaluation for consolidating research ethics should be approached cautiously as there are both aspects of strength and weakness. The priori research ethics evaluation system currently used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has the negative aspect including providing the reason for political debate. Third, while we continue to evaluate the research ethic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ystem. Clarification of the basis and purpose, supplementation and actualization of evaluating standard, establishment of the 'plagiarism search system' will be conducive to improvement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policy research institutes must be consider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Adjusting the scope of utilization is also necessary aspect to be considered.]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윤리 검증 및 평가 실태 분석  Ⅳ.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개선방향  Ⅴ.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008 5 과학 기술 사회 Nanotechnology, Governance, and Public Deliberation: What Role for the Social Sciences? 2005  84
400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신뢰가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 김원제 2016  84
4006 9 보건의료 식약청의 바이오의약품 분야 평가기반 연구현황 / 유시형 2011  84
4005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의 발달을 둘러싼 현대사회의 법적 과제 -대리모 및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 함철훈 2003  84
400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간 뇌의 특별함을 키우다” / 안민경 2016  84
400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4002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4
4001 2 생명윤리 이익동등고려의 원칙의 수용 가능성 / 이기훈 2016  84
4000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4
3999 14 재생산 기술 미혼 여성의 임신능력 보존을 위한 난자 동결에 대한 인식 /조한선, 김혜옥 2017  84
3998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4
3997 7 의료사회학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 지표 개발 연구 / 이영미 2018  84
» 23 연구윤리 국책연구기관 연구윤리평가 실태 및 개선방향 / 김병철 2013  84
3995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2017  84
3994 7 의료사회학 임상실습교육 강화의 필요성 연구 / 황보민, 박종현 2018  84
3993 19 장기 조직 이식 The Argument Against Live-donor Liver Transplantation 1996  85
3992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Immigration Justice and the Grounds for Mandatory Vaccinations 2015  85
3991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5
3990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이영호, 송영민 2005  85
3989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우리나라 의료관광 법적 연구의 현황과 검토 / 조형원 2017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