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3624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Moral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an Artificial Moral Agent - Purpose, Moral Norm, and Action-Guiding

  • 저자[authors] 목광수(Kwangsu Mo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사상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9No.-[2018]
  • 발행처[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61-3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적 도덕행위자,공통도덕,행위지침,중첩적 합의,artificial moral agent,common morality,action-guiding,overlapping consensus

초록[abstracts] 
[과학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인간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또는 AI 로봇과의 상호작용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 들어 AI 또는 AI 로봇은 현실적 차원에서 도덕적 고려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연구되고 있는 AI와 관련된 도덕 논의 가운데, 현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 가운데 하나가 인공적 도덕 행위자 (artificial moral agent, 이하 AMA)에 대한 논의이다. 왜냐하면, 현재 인간과 사회적 관계를 맺게 될 AI 또는 AI 로봇에게 시급하게 요구되는 도덕적 고려사항은 AI 또는 AI 로봇이 인간을 도덕적으로 대우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AMA 설계를 위해 고려할 도덕 철학적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모색해서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AMA의 목적, 도덕규범, 행위지침이라는 형식적 구조에 맞춰 AMA가 설계되어야 한다고 분석한다. 이러한 형식적 구조 분석 아래, 본 논문은 현재 과학기술의 수준에서 고려할 AMA의 설계 목적은 인간과 같이 충분한(full-fledged) 도덕 행위자가 아닌 준(quasi)-도덕 행위자 구현이며 범용이 아닌 특정 영역의 특정 역할에 제한된 AMA 구현이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AMA는 다양한 도덕규범들 가운데 보편성 확보를 위해 제시된 공통도덕(common morality)의 중첩적 합의(overlapping consensus) 과정을 통해 제시된 8개의 도덕규범을 토대로 해당 영역에 맞게 구체화(specification)하고 재구성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AMA의 목적과 관련된 해당 영역과 특정 역할의 특수성에 입각한 비중주기(weighing)를 통한 기본 알고리즘 설정과 사후 승인의 학습을 통해 추가되는 행위지침(action-guiding)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I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ereafter, AI) and AI robot engineering, AI or AI robots are not anymore “merely” things, but are beings, which call for moral considerations. This is becaus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AI or AI robots are increasing ever more, and humans tend to consider them to be moral beings or quasi-moral beings. In this tendency, it is necessary to design AI or AI robots that interact with humans to be ethical or mor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moral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an artificial moral agent(hereafter, AMA) and to suggest how this AMA should be designed. Based on my analysis, the structure of purpose, moral norms, and action-guid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an AMA with mor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structure, I suggest that the purpose of the AMA design should be to achieve a quasi-AMA, the level of which is an explicit ethical agent rather than a full ethical agent such as humans. In addition, this quasi-AMA should be designed to act in a specific-domain, but not in general areas as humans do. I also suggest that we should design the AMA according to 8 rules of common morality, which are selected from among established theories of common morality through John Rawls’s method of overlapping consensus and give the AMA a strategy to integrate the “specification” of common morality and “balancing and weighing” to strengthen casuistic reasoning for action-guiding. This strategy of action-guiding is to program the AMA so that it basically weighs moral norm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common morality and learns how to weigh a specific action-guiding through the later ratification of an accomplished action.]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Ⅰ. 들어가는 글  Ⅱ. AMA 설계를 위한 목표 수준(level)과 활동 범위(scope)  Ⅲ. AMA 제작을 위해 고려할 것들  Ⅳ.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48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8
3247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3246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3245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3244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9
3243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242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3241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9
3239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9
3238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323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3236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3235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3234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9
323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232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3231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323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3229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