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가톨릭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5038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손보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가톨릭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가톨릭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9-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칠극(七克)』, 보조생식술, 해탐(解貪), 평등의 원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The Seven Victories(七克),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tam(解貪)’, principle of equality, personalistic bioethics

초록[abstracts] 
[이 글은 『칠극』의 맥락에서 현대 의과학 기술의 하나인 보조생식술을 고찰하였다. 초기 가톨릭신자의 윤리지침서인 『칠극』이 현대인의 생활과 유의미한 연관을 가지기 위해서는, 『칠극』의 맥락에서 현대 의과학 기술의 하나인 보조생식술의 시술과정에 수반되는 배아의 생명 침해 문제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칠극』 ‘해탐’(解貪)편이 제시하는 원리와 지침에 의거해보조생식술을 고찰한 결과, 『칠극』의 맥락에서 보조생식술은 인간의 탐욕에 해당하여 허용될 수 없는 기술이다. 그 근거는 첫째, 보조생식술은 인간이 알 수 있는 이치의 범위를 벗어난 지탐(智貪) 과 관련되며, 둘째, 탐욕을 푸는 ‘해탐’의 방안인 ‘평등’의 원리가보조생식술 시술과정에 적용될 수 없다는데 있었다. 이러한 고찰결과는 회칙 「인간 생명」(Humanae vitae)과 인간 생명의 기원과출산의 존엄성에 관한 훈령 「생명의 선물」(Donum Vitae)의 가르침과 상통하며, 인격주의 생명윤리체계의 인간 생명 보호 원리와도 상통하였다. 『칠극』이 제시하는 ‘해탐’의 방안으로서 ‘평등’원리는 배아의 생명 침해가 부당하다는 인격주의 생명윤리체계의 주장에 정당성을 더해준다. 그리고 ‘평등’원리는 입장과 이해의 대립에서 기인하는 인간 생명침해문제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유용할 것이므로,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 『칠극』이 제시하는실천덕목은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virtues of ‘hatam(解貪)’ in The Seven Victories(七克). In order to have a meaningful connection with the life of modern Christia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 problem of embryo life infringement accompanied with the procedur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hich is a modern medical technology,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the The Seven Victories. Firs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at damages the life of the embryo is not allowed in the personalistic bioethics. Second, In the context of the The Seven Victories,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as shown to be unacceptable because it corresponds to human greed. Becaus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beyond the scope of what humans can understand.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at goes beyond greed does not apply to assisted reproduction procedures. The results of these observa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teachings of Humanae vitae (1968.7.25.) and Donum Vitae(1987.2.22.), which were publishe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Seven Victories. In this way, The Seven Victories is valid for the contemporary Christians, and also for the contemporary cultivating text, and the pride-humility, jealousy-forgiveness, greed-vengeance, anger-tolerance, dissipation-temperance, obscenity-cleansing, indolence-diligence, It is necessary to use moral education to point out method of fostering by linking method.]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칠극』에서 ‘해탐’의 원리   3. 『칠극』 ‘해탐’과 생명윤리   4. 인격주의 생명윤리와 『칠극』   5. 결론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1108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1107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1106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11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110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1103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1
1102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1101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2
1100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태도 / 김숙남 외 2016  402
1099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1098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109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096 9 보건의료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김장한 2015  404
1095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1094 9 보건의료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김진숙,오수현 2018  404
10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치매관리 현황과 치매국가책임제 / 곽경필 2018  404
1092 10 성/젠더 성매매 규제 및 성매매여성의 탈(脫)성매매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 최정일 2018  404
109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오세정 2019  404
1090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2014  405
1089 15 유전학 후생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Mitome) 구축 및 유용성 검증 / 이용석 2009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