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30546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International standards on the informed consent of subjects and improvement of national laws related to clinical trials

  • 저자[authors] 김성룡(Kim, Sung-Ry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논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3No.-[2018]
  • 발행처[publisher]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7-34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임상시험,뉘른베르크,헬싱키선언,약사법,피해자의 동의,Clinical trials,Nuremberg Code,Helsinki Declaration,Pharmacy law,Informed consent

초록[abstracts] 
[임상시험은 블루 오션이라고도 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임상시험대상자 보호, 국민이 안심하고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조성, 건강인의 임상시험 참여횟수 축소(연2회), ‘전자동의’ 절차마련, 피해보상을 위한 보험가입의무화 등의 약사법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고, 임상시험 실적 2017년 현재 세계 6위(3.5%)를 차지하는 대한민국이라면, 그 위상에 부합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에는 누구나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실체와 내실을 들여다보면, 임상시험이나 의학적 연구・조사와 관련한 민사상의 책임은 물론, 형사법적 책임을 논할 때에도 가장 전면에 등장하는 ‘피해자의 승낙’, 즉 의료인으로부터 해당 의료행위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숙고의 시간을 거친 뒤 피험자의 자유로운 판단에 기초한 자발적 승낙・동의(informed consent)가 있었는가 여부에 관한 접근마저도 피상적인 선언 수준에 머물러 있은 것이 국내 법령의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임상시험과 관련한 다양한 논제들 중에서 우선 피험자・피해자의 동의가 임상시험・생체실험・의학적 연구의 수행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도 결정적인 전제조건으로 등장하게 된 과정을 나찌 전범을 전후로 한 유럽 중심의 역사를 통해 개관하면서, 중요한 선언과 지침・규정들의 관련 내용도 함께 살펴보고(Ⅱ), 현재 외국의 관련 법제와 비교할 때 국내의 현황은 어떠한지를 국내의 몇몇 관련법령・규칙을 중심으로 검토한 후, 국내의 관련 법규의 현황과 내용 중 시급히 개선・보완될 필요가 있는 것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Ⅲ).    결론적으로 우리의 현행 법령・규칙이 하루빨리 진정한 피험자 보호, 투명성의 제고, 세계시장에서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가질 수 있도록 입법자와 의료관계자(의사・연구자), 그리고 법률가의 공통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linical trials are called the “blue oceans.”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is working to protect the subjects of clinical trials,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where the public can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with confidence, and so on.    The agency said it is pushing for amendments to the pharmacist law, including reducing the number of health peoples" participation in clinical trials (twice a year), setting up a ‘fully automated" consent procedure, and making insurance compulsory. Currently, Korea accounts for the sixth place (3.5%) of clinical trial results in 2017. However, the contents of domestic laws and guidelines on informed consent of subjects are too abstract and poor.    In this article, among the various topics related to clinical trials, we examined the process by which subjects" consent became the most important and crucial precondition for conducting clinical trials, especially in the history of european states.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also reviewed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important Declarations, the Directives and Regulations with regards to the informed consent of human subjects, and this paper finally examines the problems of domestic laws and how they should be improved.    In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our current statutes and regulations should try to have concrete and detailed contents for the protection of subjects, the enhancement of transparency, and the consolidati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global market.]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글의 목적 및 범위  Ⅱ. 임상시험의 조건으로 피험자의 ‘정보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의 사적 변천  Ⅲ. 국내 관련 법령의 상태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북한의 의사양성제도와 통일시대 의료인력 개발의 원칙 / 김신곤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의료의 배타적 전문성과 21세기 한국의료의 특징 / 정성균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학적 연구와 관련한 국가·기관 위원회 구성의 문제점 및 시험자·의뢰자에 대한 실효적 형사 처벌 필요성 / 김성룡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1 윤리학 공개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 김민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5 과학 기술 사회 영리병원 도입은 되돌릴 수 없는 법적 약속인가 ― 영리병원 설립 근거 법률의 개정과 한미 FTA 합치성 검토 ― / 정은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시험에서 의사-연구자의 주의의무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수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당뇨요인분석 및 예측모델개발 / 조인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HIV 감염인의 재생산권과 보조생식술 / 배현아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0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양은지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