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26476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Enlightenment of Korea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to China's Legislation

  • 저자[authors] 나혜란
  • 발행사항 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41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정훈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법학과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울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개인정보보호,빅데이터,입법 현황,중국
  • 소장기관[Holding] 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 UCI식별코드 I804:48009-200000102820

초록[abstracts] 
지난 반세기 동안 빅데이터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사 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리고 데이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과 학연구, 의료, 금융업, 인터넷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데이터가 급속히 증가하였 다. 중국은 인구수가 세계 1위일 뿐만 아니라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수도 세계 1위이다. 이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와 데이터의 양은 헤아릴 수 없을 정 도로 방대하다. 현대 사회는 산업경제에서 지식경제로 전환되면서 빅데이터 시대 로 진입하였다. 사회변혁을 수반하는 빅데이터 시대에는 개인정보가 더욱 확실히 보호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개인정보 보호 문 제는 기술, 규제, 법률 등의 여러 방면에서 새로운 위협과 과제에 직면해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중국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관념, 정보산업, 과학기술, 입법계획 등의 여러 방면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중시되지 않 았다. 현재 중국은 인터넷 및 데이터 구축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개 인정보 보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법률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개인정보 보호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지도 오래되지 않았다. 현재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 한 법률 및 제도는 데이터 시대에서 요구되는 수준에 못 미치고 있으며, 개인정 보의 유출 및 개인정보의 불법적인 사용 등의 문제도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은 20세기 초부터 인터넷 발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고, 이와 동시에 개 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한국 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인터넷 속도, 인터넷 보급 률 등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정부나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까지도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한국에서 2011년부터 시행된 「개 인정보 보호법」은 이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률적인 체계가 구축되었 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2016년 6월부터 지난해의 연매 출이 150억 원 이상인 한국기업은 정보안전관리시스템으로부터 반드시 인증을 받 아야 한다는 법률이 만들어졌다. 2017년 5월의 한국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국의 개 인정보보호 관리체계(PIMS)는 국제기구로부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하나의 국제 적인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한국은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선 진국들의 경험을 배우고 참고하였으며,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을 추구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개인정보 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실시하였다. 이로써 빅데이터의 개방성을 저해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완벽에 가까운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구 축할 수 있었다. 한국과 중국은 사회적 이데올로기 방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지만 중국은 한국의 입법 경험을 배울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을 참고하여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에 적합한 「개인정보 보호법」을 마 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개선하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중요성, 연구 방법, 연구 범위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률 및 한국의 PIMS 인증제도 를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주로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의 특징을 소개하고 한 국의 「개인정보 보호법」 제정배경에 관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그리고 「개ii 인정보 보호법」 제정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 체계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4장에서는 주로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입법 및 규제 현황을 소개하고 현재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 제도의 특색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5장 에서는 앞부분의 서술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입법 경험을 참고하여 향후 중 국의 개인정보 보호 법률의 제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으로는 현재 중국의 상 황과 발전 수요에 적합한 입법 모델을 연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완벽한 규 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법률적 규범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사전 및 사 후 규제 체계를 참고하여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 체계의 구축 방향에 대해 연구하 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77
4048 9 보건의료 노인의 건강과 돌봄 / 이윤경 2018  150
4047 9 보건의료 4차산업혁명과 보건복지 서비스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 스웨덴의 스마트핼쓰케어(eHealth)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 / 홍세영 2018  125
4046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정보 클라우드컴퓨팅 규제와 법적 과제 : EU 개인정보보호법과 비교 / 최용전 2017  303
4045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62
4044 9 보건의료 미국의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정보기술(Health IT) 법제 / 왕승혜 2017  90
4043 9 보건의료 한국 고령 환자 전환기 의료 관리체계 개선 방안 : 미국, 호주 비교법 제도 연구 / 백상숙 2018  200
4042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56
4041 9 보건의료 혼인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행태 분석 / 이웅 2018  117
4040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71
4039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 있어 의료사고에의 대응과 시사점 - 의료사고조사제도와 무과실보상제도를 중심으로 - / 홍태석 외 2018  248
4038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형사범죄에 따른 면허취소처분의 쟁점과 고려사항 / 김성은 2018  215
4037 9 보건의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자동조정절차 개시제도 도입경과 및 개선방안 / 김성은 2017  101
4036 8 환자 의사 관계 안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에 대한 연구 / 류영주 2017  160
4035 9 보건의료 의료감정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신강욱 2018  177
»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28
403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44
403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치료비 청구와 ‘책임제한’ 법리의 재검토 / 장재형 2018  102
403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책임제한법리 / 심다은 외 2018  211
40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의 동의에 관한 국제기준과 관련 국내법의 개선 방향 / 김성룡 2018  109
4029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