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25865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Roles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for Better Health and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Korea

  • 저자[authors] 이영성 ( Young Sung Lee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3-27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ealth technology reassessment,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Evidence-based healthcare policy, Big data &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platform, Value-based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초록[abstract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is defined as multidisciplinary policy analysis to look into the medical, economic, soci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use of health technology. Following the recent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improve Korea’s healthcare environment by, inter alia, assessing health technologies in an organized, timely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strategies to ensure that citizens’ medical expenses are kept at a stable level. Dedicated to HTA and research,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 analyzes and provides grounds on the clinical safety, efficac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health technologies. HTA offers the most suitable grounds for decision making not only by healthcare professionals but also by policy makers and citizens as seen in a case in 2009 where research revealed that glucosamine lacked preventive and treatment effects for osteoarthritis and glucosamine was subsequently exclud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s benefit list to stop the insurance scheme from suffering financial losses and citizens from paying unnecessary medical expenses. For the development of HTA in Korea, the NECA will continue exerting itself to accomplish its mission of providing policy support by health technology reassessment, promoting the establishment and use of big data and HTA platforms for public interest, and developing a new value-based HTA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발행년 2007 

  • 조회 수 6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발행년 2004 

  • 조회 수 69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발행년 2011 

  • 조회 수 6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의 종합 관리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 김현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발행년 2009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발행년 2004 

  • 조회 수 69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