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07384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On the Death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Death and Bardo

  • 저자[authors] 양정연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8No.-[2013]
  • 발행처[publisher]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7-26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228
  • 주제어[descriptor] 람림(도차제),죽음준비교육,중음,죽음,임종,삼사도,중음해탈,현교,밀교,Lam-rim,Death Education,Bardo,Death,Dying,Three Levels of Spiritual Application,Bar do thos grol,Esoteric Buddhism,Exoteric Buddhism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Lam-rim(『도차제』)의 내용을 중심으로 죽음 억념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그 가르침을 바탕으로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밀교수행을 위해 현교의 교학적 이해와 수행의 내용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은 밀교체계가 현교의 그것까지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티벳불교의 바르도를 다루면서 Lam-rim에 주목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체계구성에 근거한다. 죽음에 대한 억념과 삼악도에 윤회하는 고통은 下士道에서 설명되고 三善道에서의 삶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은 中士道에서 설명된다. 사대요소의 소멸이 외적인 죽음을 말한다면 밀교적 이해는 내적인 죽음상태와 관련되어 설명된다. 티벳불교에서 바르도의 가르침은 모든 과정에서 매 순간마다 깨어있고 알아차릴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상황을 직시함으로써 진실한 세계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밀교에서는 죽음을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종교적 완성을 위한 또 다른 기회로 설명한다. 죽음의 과정을 포함하여 우리가 경험하는 매 순간이 성불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임종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이러한 긍정적 관점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밀교의 임종론은 죽음준비교육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of meditation on death in Lam-rim and investigates death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Bardo on the basis of the teaching. The understanding of teachings and practices of Exoteric Buddhism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and this means that th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includes that of Exoteric Buddhism. This is why this study focuses Lam-rim for examining Bardo in Tibetan Buddhism. The meditation on death and the sufferings of Samsara are explained in the lower level. The teaching about the finitude of the lives in three good paths is explained in the intermediate level. The extinction of four great material elements which are earth, water, fire and air is connected with external death and the death in Esoteric Buddhism is internal death. Bardo in Exoteric Buddhism is regarded a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attaining enlightenment. The teachings of Bardo in Tibetan Buddhism emphasize that we have to be aware of the position or state of affaires every moment and we can get the opportunity to awaken to the truth. The death in Esoteric Buddhism is not negative but positive because it can be another opportunity for us to attain spiritual fulfillment. The view point of death and dying in Esoteric Buddhism can be very helpful to death education because it has a positive attitude about death.]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Ⅰ. 논의제기 Ⅱ. 윤회세계에서의 죽음 Ⅲ. 죽음의 억념과 수행 Ⅳ. 죽음과정의 밀교적 이해 Ⅴ. 바르도와 영적 성숙 Ⅵ. 맺음말: 임종을 맞이하는 태도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발행년 2003 

  • 조회 수 519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발행년 2009 

  • 조회 수 520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520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0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5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발행년 2014 

  • 조회 수 52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발행년 2007 

  • 조회 수 52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발행년 2014 

  • 조회 수 523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발행년 2019 

  • 조회 수 52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3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523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발행년 2016 

  • 조회 수 52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발행년 2015 

  • 조회 수 524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발행년 2008 

  • 조회 수 52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발행년 1998 

  • 조회 수 525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5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5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526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발행년 2012 

  • 조회 수 526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