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광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48948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저자[authors] 김재휘,김진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광고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5[2015]
  • 발행처[publisher] 한국광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5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25
  • 주제어[descriptor] 기부 캠페인, 죽음 점화, 회피 동기, 세계관 보호, 사회적 규범 메시지, 수혜자 필요 메시지, Charitable donation campaign, avoidance motive, world-view protection, social-norm focused message, victim-need focused message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죽음 연상 맥락에 주목하고, 죽음 점화로 인한 심리적 기제를 고려한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기부 캠페인에서는 수혜자의 처지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문제 상황의 처참함과 심각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주의를 끌고 동정심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부적 정서의 유발이 단순한 슬픔을 넘어 죽음의 공포와 같이 극단화되면, 기부 메시지에 대한 회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죽음은 인간의 실존을 위협하는 통제 불가능한 사건이므로, 기부를 포함한 어떠한 행동으로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고 느끼게 만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기부를 촉구하는 메시지의 죽음 현저성이 높아질 때 기부 태도 및 의도가 낮아지는 역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효과가 회피 동기에 의해 매개됨을 검증하였다. 즉, 기부 메시지 자체의 죽음 현저성을 낮추는 것이 기부 촉진을 위한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부 이슈에 따라서는 세월호 참사나 대규모 태풍 재해와 같이 죽음이 현저하게 연상될 수밖에 없는 맥락이 존재한다. 죽음 점화에 의한 사고 및 행동의 변화를 조망한 ‘공포관리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직접적인 죽음 연상 자극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회피하고, 그와 동시에 무의식적으로는 자신의 세계관과 존재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소속의 동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죽음 점화 기부 이슈의 경우, 사회적 동기에 적절히 소구할 수 있는 ‘사회적 규범 메시지’가 대개 기부 행동의 핵심 요소인 동정심을 소구하는 ‘수혜자 필요 메시지’보다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연구 2에서 죽음 점화 이슈에 대하여 두 메시지의 차별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부 캠페인을 죽음이 연상되는 맥락으로 구체화하여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focused on death-related context of charitable campaigns, and suggested a message strategy reflecting psychological copping mechanism against mortality salience. Campaigners of charitable giving often emphasize the victim's tragic situation to draw attention and magnify sympathetic reaction. Previous literature also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negative appeal in charitable campaigns. However, current study assumed that if the negative emotion aroused by descriptions on victims exceeds from sadness to the terror of death, the negative appeal can backfire. This is because death is an uncontrollable event to the mortals, and people may perceive there is nothing to improve the situation. Study 1 verified this assumption by examining that higher mortality salience could lead to less donation attitude and intention, which is mediated by an avoidance motive. As a result, lowering mortality salience of charitable appeal can be an effective way in persuading charitable behavior. Meanwhile, some donation issues can easily reminds of death-related thoughts, even when the message's mortality salience is low. That is, people cannot help thinking about death by simply noticing specific donation issues itself, such as massive accident like the sunken ship Se-wol and natural disaster with heavy casualties. According to the Terror-Management Theory, this kind of mortality priming triggers motives to protect cultural world-view in the unconscious level, which makes people pursue socially supported behavior. Therefore,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norm focused message' emphasizing many other donors' behavior is more effective than 'victim-needs focused message' evoking sympathy. As expected, study 2 examined different effects of these two charitable messages. Specifically, when it comes to death-priming issue, social-norm focused message which is appropriately able to appeal on the social motive can leads more favorable donation attitude and higher intention to giv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기부 캠페인에서 부적 감정 유발의 효과    2) 기부 캠페인에서 부적 감정 유발의 역효과 : 죽음 현저성을 중심으로    3) 기부 이슈가 죽음을 연상시킬 때,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3. 연구 문제   4. 연구 1    1) 연구 1의 실험 설계    2) 연구 1의 실험 절차    3) 연구 1의 결과    4) 연구 1의 논의   5. 연구 2    1) 연구 2의 실험 설계    2) 연구 2의 실험 절차    3) 연구 2의 결과    4) 연구 2의 논의   6. 종합 논의    1) 연구 요약    2) 이론적 시사점    3) 실무적 시사점    4) 한계 및 후속 연구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4428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2009  1151
4427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 김성윤 2018  1146
4426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8
4425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8
4424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5
4423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  1130
442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30
4421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127
442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27
4419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1
4418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20
4417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5
4416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13
4415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11
4414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110
4413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10
4412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100
4411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441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7
440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