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1462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 Analysis of Mortality Cause and Properties using Medical Big Data in Gangwon

  • 저자[authors] 정대현(Dae-hyun Jeong),권오영(O-young Kwon),구영덕(Young-duk K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9[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9-15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의료 빅데이터,사망률,상관분석,Medical Big Data,Mortality Rate,Correlation Analysis

초록[abstracts]
[의료정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막대한 의료 빅데이터 정보가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빅데이터는 고령화와 의료비의 가파른 상승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전 국민대상 주민등록번호와 전산화된 이용 자료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 측면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자료와 통계청 사망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의 사망자 분석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원도 사망률과 관계된 주요 변수로는 자기지역병원 인프라 이용률, 소득수준, 고령화 및 인구 밀도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격차에 따른 불평등과 지역 의료 인프라 부족 등은 지역의 사망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역 병원 인프라 개선 및 소득 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별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민 사망자를 분석하고, 다양한 사회 지표와 상관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on, vast amounts of medical data are accumulating, and such medical data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for solving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rapid rise in medical cost. Especially in Korea, there ar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and computerized usage data for all citizens, so it can be superior to other countries in terms of medical infrastructure that can utilize big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tality and death rate of Gangwon using the Big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centered on Kangwon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sis, major variables related to the mortality rate of Gangwon were hospital infrastructure utilization rate, income level, aging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Therefore, inequalities due to income disparities and insufficient local medical infrastructures were affecting the local mortality rate, and policy support was needed to improve the local hospital infrastructure and incom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medical big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deaths of people in Gangwon, and the causes of the death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social indicators and correlation analysi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방법론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2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1998  800
4287 22 동물복지 동물복지와 인간의 삶에 관한 소고 / 변정은 2016  796
4286 15 유전학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백수진 2010  796
4285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4
428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91
428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감소를 위한 마약성 진통제 사용의 제도적 개선 방안 / 김승옥 2006  791
4282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8
4281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5
428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사례를 활용한 간호사의 법적의무확인과 환자안전역량활동 모색 / 이여진 2018  783
4279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82
427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2
4277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80
4276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4275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4274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4273 2 생명윤리 해부실험 전에 실시한 생명윤리교육이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에 대한 인식에 주는 효과 / 채승애 2014  778
427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과 사회 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 박성원 2016  777
427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427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2014  777
4269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