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4001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Implications of ‘Sy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SBR) : Focus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 저자[authors] 김진경(Kim Jin-kyong),김택중(Kim Taek-jo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6]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사회행동과학연구(SBR),질적 연구,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공감,상상력,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social behavioral research,qualitative research,the researcher-subject relationship,sympathy,imaginative power,informed consent

초록[abstracts] 
[사회행동과학연구(Social Behavioral Research, SBR)의 질적 연구는 인간과 사회의 저변에 내재된 질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인간과 사회적 맥락에 관심을 기울이며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을 지향하기 때문에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를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간의 상호작용, 연구 과정의 맥락 등을 중요시하는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상 연구 과정이 객관적인 기준을 따르기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질적 연구의 경우 연구자가 어떠한 윤리적 의식 및 가치를 가지는가는 연구의 과학적․윤리적 수행과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권리 보호를 위한 핵심 요소가 된다.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형성하는 신뢰 관계는 연구를 수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BR의 질적 연구의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는 방안으로서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가 가지는 한계점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의 도덕 판단 원리로서 “따라 느끼는 것”과 “함께 느끼는 것”으로서‘공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질적 연구 과정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공감이 가지는 도덕적 의의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As part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SBR), a qualitative research is to determin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human and society. With interest in human and social contexts, the qualitative study aims to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with those contexts so it may be likely to be affected by personal values that its conductor, or researcher has. The qualitative research may be less likely to be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objective standards because it tends to put more importance in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and contexts of its proces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therefore, not only the scientific and ethical performance of that research, but also the protection of the subject"s safety and rights are greatly dependent on how much the researcher ethically prepare themselves in terms of consciousness and value. And how much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trust each other is quite important to the better performanc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as part of SBR, determining limitations that obtaining consent by sufficient explanation may have as a way to protect the safety and rights of the subject. The study also tried to examine the very principle of moral judgement in the researcher-subject relationship, that is, ‘sympathy’ that includes “following the other"s feeling” and “sharing a same feeling with the other”, and discussed moral implications that sympathy has in that relationship.]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SBR의 질적 연구에서 충분한 설명에 의한 동의  Ⅲ.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  Ⅳ.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공감의 의의  Ⅴ. 맺음말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248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8
3247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3246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3245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3244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9
3243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242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3241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3240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9
3239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9
3238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323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3236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3235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3234 1 윤리학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 박장호 2019  129
323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3232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3231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323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